북한이 올해 들어 13번째 무력 도발을 감행한 가운데 새 정부로 한·미 양국 간 공조 관계를 연착륙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가시화하고 있다.
17일 정부와 외교가에 따르면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는 18~22일 방한해 최근 한반도 상황을 살피고 대북 방안을 논의한다. 이는 김 대표가 지난해 5월 임명된 이후 네 번째 방한이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한·미 정책협의 대표단이 미국을 방문한 지 일주일 만이다.
때마침 북한은 지난 16일 신형 전술유도무기를 시험발사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 참관 아래 "시험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이날 보도했다. 북한은 최대 명절로 꼽는 태양절(김일성 생일·4월 15일) 110주년을 비교적 조용히 보냈으나 이내 예상을 벗어나지 않고 무력 도발을 일삼았다.
18일부터 9일간 이뤄지는 한·미 전반기 연합지휘소훈련(CCPT)에 대한 반발감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이를 빌미로 윤 당선인 취임(5월 10일)을 전후해 추가 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도발의 일상화로 회귀했다"고 우려했다. 합동참모본부가 북한 발사 소식을 하루 늦게 전한 데 대해선 "우리 군 당국의 북한 미사일 대비 능력에 한계가 표출됐다"고 지적했다.
이렇듯 한반도 정세의 긴장 수위가 연초부터 높아졌다 주춤하길 반복하면서 윤석열 정부는 출범 전부터 부담을 안게 됐다. 한·미 관계에 더 공을 들일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미국 국무부는 김 대표의 이번 방한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진전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북 문제와 관련해 한·미 간 긴밀한 협력에 대한 약속도 강조했다. 동시에 윤 당선인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간 첫 정상회담도 속도감 있게 논의되고 있다. 다음 달 21일 전후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정상회담 주요 의제는 핵·미사일 위협 수위를 높이는 북한에 대한 한·미 공동 대응 방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윤 당선인은 오는 24일 일본에도 정책협의 대표단을 파견한다. 대표단은 총 7명으로 구성되며, 단장은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이 맡았다. 한·일 현안뿐만 아니라 대북 정책 공조 방안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