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05/20220405180852807554.jpg)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로 들어서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인수위 사진기자단]
정부가 5일 공개한 '2021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국가부채는 2196조4000억원을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2000조원을 넘어섰다. 코로나19로 인한 추경 편성과 공무원·군인연금 등 연금충당부채가 늘어난 영향이다.
특히 연금충당부채는 총 1138조2000억원으로 국가부채에서 절반 이상(51.8%)을 차지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전인 2016년(752조6000억원)과 비교하면 5년 새 385조6000억원 늘었다.
연금충당부채는 앞으로 70년 이상에 걸쳐 공무원과 군인에게 줄 연금 추정액을 현시점에서 미리 계산한 금액이다. 미래 연금 지급액에 현재 금리 수준을 반영한 '할인율'을 적용해 추계한다. 정부는 지난해 할인율이 2.66%에서 2.44%로 하락해 지급액 추계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국가가 당장 갚아야 하는 나랏빚으로 보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 의견은 다르다. 결국은 국가 부담인 만큼 간과해선 안 된다고 지적한다. 서상호 웅지세무대 경영세무정보학부 교수는 "일반적인 재정통계에선 연금충당부채가 빠지지만 실질적으로 국가 돈이 들어가는 만큼 부채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도 "공무원·군인연금을 포함한 연금충당부채는 국가 부채로 보는 게 맞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결산 내용은 연기금 정책을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개혁해야 할 필요성을 다시 한번 보여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눈덩이처럼 불어난 국가부채를 낮추려면 새 정부가 추경에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결산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일반회계 세계잉여금은 총 18조원이다. 이 가운데 차기 정부가 추경 재원으로 쓸 수 있는 금액은 3조3000억원 수준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공언한 50조원에 턱없이 부족하다.
성 교수는 "국가부채 급증 속도가 매우 빠르다"며 "자영업자·소상공인 지원은 필요하지만 무조건 추경부터 할 것이 아니라 손실액부터 추산한 뒤 지원하는 방식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