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선정된 전국 300곳의 어촌뉴딜 현장
해양수산부는 지난 6일 2022년도 어촌뉴딜300사업 신규 대상지 50개소를 선정했다. 이를통해 2019년부터 추진한 어촌뉴딜300사업 대상지가 모두 결정됐다.
어촌뉴딜300사업은 낙후된 어촌을 살리는 게 골자다. 우선 전국의 항·포구와 어촌마을 중 300곳을 선정, 이곳의 필수 기반시설을 현대화한다. 이어 자연경관, 문화유산, 지역특산물 등 어촌지역의 다양한 자원도 활용해 지역별로 특화 사업도 추진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어촌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을 살리는 데 목표를 둔다.
사업이 진행되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투입되는 자금은 약 3조원으로 추정된다. 이 중 국비는 2조 1000억원이며 지방비 9000억원이다. 올해까지 투자된 금액은 약 1조 6000억원이다. 내년에는 7350억원의 투자가 예정돼 있다. 정부가 나선 어촌지역 투자사업 중 역대 최고 수준이다.
해수부는 내년도 사업 대상지 선정을 위해 지난 5월에 공모계획을 발표했다. 이어 9월에 접수를 진행했다. 공모 결과를 살펴보면 11개 시·도, 54개 시·군·구에서 187개소를 신청했다. 경쟁률은 3.74:1에 달한다. 경쟁 지역들은 민·관 합동 평가단의 지역별 서면평가와 현장평가, 민·관 합동 평가위원회의 종합평가를 거쳤다. 경쟁을 이겨낸 어촌은 총 50곳이다. 마지막 300곳의 퍼즐이 완성된 셈이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16개소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남 8개소, 충남 7개소, 경북 3개소, 강원 3개소, 전북 3개소, 제주 3개소, 인천 3개소, 부산 2개소, 경기 1개소, 울산 1개소가 선정됐다.
사업비는 개소당 평균 100억원으로 예상된다. 이를 모두 합하면 3년간 총 5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국비는 3500억원이며, 지방비는 1500억원 가량이다.
평가방식 중 눈여겨볼 부분도 있다. 올해 평가방식은 지난해와 3가지에서 크게 달라졌다. 달라진 부분은 △마을개방 노력도와 ‘주거플랫폼’ 조성 계획 대한 평가 강화 △갈등 관리 방안에 대한 평가 도입 △조성된 생활서비스 시설의 타지역 주민 이용 가능 여부 평가 신설 등이다.
아울러 해수부는 내년 사업을 좀 더 구분해서 진행할 계획이다. 지역밀착형 생활SOC 공급과 지역자원을 활용한 어촌특화개발 및 지역재생을 통한 어촌마을 살리기 등 더 세분된 형태로 어촌 개발에 나선다는 각오다.
주민들에게 어촌뉴딜 사업이 체감되도록 이번에 선정된 신규 사업에도 더욱 심혈을 기울일 방침이다. 어촌의 선착장, 대합실, 안전시설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생활SOC사업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생활여건의 개선에 힘을 쏟는다.
후속사업도 미리 구상한다. 내년부터 신규 인구 유입, 어촌 생활서비스 지원을 강화한 '포스트 어촌뉴딜' 시범사업(4개소)을 추진해 한 발 더 나간다는 계산이다. 이를 통해 어촌의 생활 수준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해 지역 소멸의 문제를 시급히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어촌에 자생력을 불어넣어 선순환 구조도 구축한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어촌뉴딜300 사업의 내실 있는 사업 추진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성공적인 어촌·어항 재생기반을 구축하여 어촌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어촌지역 주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만큼, 내년에 시작되는 포스트 어촌뉴딜 시범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앞으로도 낙후된 어촌에 대한 지원이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어촌뉴딜 선도모델 화성시 백미리 어촌마을 갔다와보니
방문객들은 버스를 타고 비좁은 시골길로 어촌을 향해가지만, 마을 사람들의 전언에 따르면 이마저도 어촌의 맛을 더욱 강조한 것이다. 마을에 들어서면 서해바다가 보이며 백미리 갯벌 체험장이 넓게 펼쳐져 있다.
어촌뉴딜 300사업을 시작하면서 마련한 다양한 공간들도 방문객의 흥미를 돋운다. 주민 공동이용시설(2층) 및 여가복합공간, B&B하우스(리모델링 중) 등이다. 대부분의 건물이 현재 마무리 공사 중이지만 이달 27일이면 전면 개장이 가능하다.
정부와 화성시는 ‘백미항 어촌뉴딜 300사업’으로 백미리 마을에 지난 3년간 사업비 105억원을 투입했다.
우선 B&B하우스를 리모델링해 1층에는 슬로푸드 체험장으로 꾸몄다. 이곳에서는 어촌계원들이 직접 바리스타 자격증을 취득해 질높은 커피를 방문객에게 선보인다. 옆에는 고급 아이스크림인 젤라또를 비치해 어촌 특유의 김, 감태, 블루베리 등 다양한 맛으로 방문객을 유혹한다.
이창미 백미리어촌계 사무장의 설명에 따르면 백미리는 과거 대한민국에서 가장 못 사는 마을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1등 어촌이 됐다. 이는 단순히 강제적으로 청년들을 어촌에 보내는 것이 아닌 경험을 통한 자발적 흡수로 마을공동체가 구축된 덕이라는 게 이 사무장의 설명이다.
어촌 고령화를 우려했던 이 마을은 이제 다양한 상품으로 방문객들을 사로잡고 있다. 특히 어촌계에서는 연어장을 비롯한 각종 양념과, 이곳의 특산품인 망둥어를 비롯해 해산물 잡기 체험 등 콘텐츠를 풍족하게 구성했다.
마을 방문객 규모도 우상향이다. 입소문이 퍼지면서 2010년 5만 6000명에 불과했던 방문객은 지난해 10만명까지 늘었다. 같은 기간 마을 체험관광수익도 크게 뛰었다.
이 사무장은 이 같은 어촌마을의 성공 사례를 다른 마을에도 전파하겠다는 포부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