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전세 위험이 급증하면서 전세금이 떼일까 불안감에 시달리는 서민들이 늘고 있다. 문제는 안전판인 전세보증 관련 상담을 받기가 하늘에 별따기 수준이라는 점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 전세보증 수요가 몰리면서, HUG 업무가 지연되고 있어서다. 이에 HUG가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등 유관기관과의 적극적인 협의를 통해 조직과 인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NS나 블로그 등 각종 부동산 관련 커뮤니티에는 HUG 콜센터와의 연결이 어려워 답답함을 호소하는 글이 잇따른다.
최근 신축빌라에 전세로 들어간 네티즌은 “은행에서 매매거래가 없는 신축빌라는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이 어렵다는 얘기를 듣고 부랴부랴 HUG 콜센터에 전화를 했다”며 “그런데 통화 대기자가 너무 많아서 30분을 기다려서야 겨우 상담을 받을 수 있었다”는 글을 올렸다.
전세보증은 현재 HUG와 서울보증보험,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취급하고 있다. 이 가운데 HUUG 상품은 임차인이 가입하는 전세보증 시장에서 90%, 임대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대보증 시장에서 99%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HUG로 고객이 집중되는 가장 큰 이유는 보증료가 저렴해서다. 민간기업인 SGI는 보험업법에 따라 보험료가 책정되는 반면 HUG는 공공기관으로써 정책적으로 보증료를 정한다. 더욱이 HUG는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운 서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보증료를 최대 70~ 80% 할인을 하고 있어 보증료가 최대 10배가량 차이가 난다.
이렇듯 가장 저렴한 HUG 상품으로 수요가 쏠리며 업무처리가 지연되고 있다. 특히 보증상담을 위한 콜센터는 몇십번을 걸어도 전화를 받지 않아 관련 민원이 폭증하고 있다. HUG 관계자는 “콜센터 직원 15명이 한달에 1만2000콜 이상을 처리하고 있다”며 “최선을 다해 대응을 하고 있으나 업무에 과부하가 걸린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일각에서는 HUG의 사업구조가 바뀐 만큼 조직의 규모 또한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건설사를 대상으로 하는 분양보증이 HUG의 중심상품일 때에는 대도시권마다 하나의 영업점을 통해 업무처리가 가능했지만, 전세보증, 임대보증 등은 업무처리의 방식이 다르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HUG의 고객이 건설사에서 서민으로 확대되며 조직과 인원을 대폭 확충해야 할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HUG관계자는 “각종 제도개선 등을 통해 전세보증, 임대보증 등의 고객편의성을 높이고 있지만 급증하는 보증수요로 인해 물리적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국토부, 기재부 등에 업무성격 변화에 따른 조직 및 인력 확대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