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월의 임기를 남겨두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이 내년 2월 개최되는 중국의 베이징올림픽을 목표로 남북 대화 재개를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 대통령이 지난 5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내 ‘화상 회담’ 등 비대면 방식의 정상회담을 제안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남북회담을 위한 대화 채널 복원에 기대감이 커진 상황이다.
4일 청와대에 따르면, 정부는 남북 간 친서교환 가능성에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은 상태다. 청와대는 지난 2일 친서 교환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확인해 줄 수 없음을 양해해달라"고 답했고, 통일부 관계자도 "아는 바 없다"면서 "비대면 회담은 언제든지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화상 회담 추진 배경은 남북 간 통신 연락선이 여전히 차단된 상태에서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할 때 북한이 당장 대화 테이블에 나설 가능성이 희박할 것으로 분석되면서다. 북한이 대화에 응하기만 한다면 당장 화상 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준비는 끝내놓은 상황인 셈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회담본부에 설치된 영상회의 시스템은 지난해부터 관계 당국과 협의해 온 사안이고, 올해 초 업무보고 등을 통해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남북 간 화상 회담을 추진하더라도 임기 말 정부의 동력 저하가 우려되면서 북·미 대화 등의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내년 베이징올림픽 전까지 한·미연합훈련 등의 변수도 많다. 신범철 경제사회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은 본지 통화에서 "문재인 정부 임기 말에 중국서 쇼하듯 한 번 만나는 것이 한반도 평화에 얼마나 실질적 기여할지는 물음표"라며 "내달 한·미연합훈련 후 북·미 관계 개선→북한 호응→남북 실질 교류협력 재개→정상회담 순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