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 주거 없이 공원이나 거리, 역사에서 생활하는 노숙인(홈리스)이 보호 시설을 이용하는 노숙인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올해 초 한 차례 집단감염을 겪은 노숙인들이 다시 방역 사각지대에 놓이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노숙인 등 시설 입소자와 종사자는 올해 2분기 백신 대상자 중 다군에 포함됐다. 이들은 위탁의료기관 내원 접종 또는 방문 접종을 통해 백신을 맞을 수 있었다. 하지만 서울시가 공개한 코로나 백신 1차 접종 현황을 보면 '거리 노숙인' 접종률은 43%에 그쳤다. 이는 자활시설(72.5%), 재활시설(96.9%), 요양시설(94.7%), 종합지원센터‧일시보호시설 등 이용시설(89.4%)을 이용하는 노숙인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접종률이다.
서울시는 “보건복지부의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지침상 노숙인 시설 입소자 및 종사자가 우선 접종 대상이다. 서울시가 보건복지부에 건의해 거리 노숙인도 종합지원센터 이용자로 등록해 백신 접종을 시행했다. 거리 노숙인의 경우 현장 거리 상담 등을 통해 접종을 안내하고 신청받았다”고 밝혔다.
이러한 현상은 거리 노숙인은 백신 접종에 대한 접근성이 어려웠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시민단체 ‘홈리스행동’은 지난 16일 정부와 서울시에 노숙인이 코로나 백신 접종에 필요한 실질적인 조건을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주장욱 홈리스행동 활동가는 “사람이 모이지 못하게 하기 위해 역사 내 텔레비전 방송을 모두 ‘코레일 홍보 방송’으로 바꾸는 등 정보 전달 기능을 하는 매체와 장소가 통제됐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홈리스행동이 노숙인 101명을 상대로 실시한 ‘홈리스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실태조사' 결과 공인인증서와 아이핀을 이용해 본인 인증을 할 수 있는 사람은 1%에 불과했다. 공인인증서와 아이핀은 온라인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백신 예약에서 본인 인증을 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다. 홈리스행동은 “본인 인증 수단의 부재란 곧 비대면 서비스 이용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잔여 백신 신청을 포함한 백신 접종 예약이 주로 온라인을 통해 이뤄지고 있고 연락처가 없을 시 예약은 물론이고 접종 관련 안내도 받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노숙인은 백신을 맞고 사후관리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설문에 응답한 노숙인들은 “이상 반응 시 이용 가능한 의료지원, 쉴 수 있는 집이 필요하다”, “예방접종 정보를 제대로 알려주면 좋겠다”, “백신 맞고 쉬어야 한다는데 또 나와서 자야 하니 걱정이다” 등 반응을 보였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백신 접종 후 10~12시간 이내에 고열, 근육통, 피로감 등 이상 반응이 나타나 48시간 이내에 사라진다. 정부는 백신 접종자가 이상 반응에 대처하도록 각 기관과 기업 등 민간 부문에 대해 별도의 유급휴가 또는 병가 제도를 활용하도록 권고·지도하기도 했다.
하지만 노숙인에게 백신을 맞고 나서 휴식 공간을 찾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홈리스행동은 “질병관리청이 제시한 사후 관리는 ‘거리’에서는 불가능한 것이다, 백신 접종과 주거 지원을 연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분기 서울시가 밝힌 ‘거리 노숙인’ 접종 인원 256명 중 사후관리 및 지원이 이뤄진 인원은 47명(18.4%)으로 나타났다. 시설 보호가 아닌 주거 지원 연계는 5.5%였다.
백신을 접하기 어려우니 집단감염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이미 지난 2월 서울역 노숙인 시설 관련 집단감염 확진자는 60명을 넘어선 바 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해 12월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고 응급 잠자리, 무료 급식 등이 일시 중단되면서 노숙인들이 기본적 생존에 심각한 위기상황에 직면하게 됐다. 노숙인 의료 지원이 지체되거나 거부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일찌감치 노숙인에 대한 코로나19 지침을 마련한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는 최근 노숙인을 위한 장기 감염 예방 전략을 내놓았다. CDC는 백신을 맞은 노숙자에게는 거리에서 마스크 미착용을 허가하되 백신을 맞지 않은 노숙자라도 노숙인을 위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홈리스행동은 “CDC의 경우 다양한 홍보 전략, 설명회 개최, 선불 전화카드 혹은 선불 휴대전화 제공 등 백신 접근성 보장을 위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오는 7월 2차 접종 실시와 함께 거리상담, 급식 지원 현장 등에서 백신 미접종자에 대한 접종 독려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선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노숙인들은 거리 생활을 하므로 코로나 노출 위험이 더 큰 실정이다. 본인은 물론 주변으로 확산을 막기 위해 백신 접종이 먼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거리 노숙인 백신 접종 지원기관 관계자는 “신분증만 확보되면 백신 접종에 어려움이 없다. 지원센터에서 임시로 신분증도 발급해주고 보건소가 직접 방문하거나 차량 이동을 제공하기 때문에 백신을 맞고자 하는 의지만 있으면 접종을 할 수 있다”고 전했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노숙인 등 시설 입소자와 종사자는 올해 2분기 백신 대상자 중 다군에 포함됐다. 이들은 위탁의료기관 내원 접종 또는 방문 접종을 통해 백신을 맞을 수 있었다. 하지만 서울시가 공개한 코로나 백신 1차 접종 현황을 보면 '거리 노숙인' 접종률은 43%에 그쳤다. 이는 자활시설(72.5%), 재활시설(96.9%), 요양시설(94.7%), 종합지원센터‧일시보호시설 등 이용시설(89.4%)을 이용하는 노숙인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접종률이다.
이러한 현상은 거리 노숙인은 백신 접종에 대한 접근성이 어려웠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시민단체 ‘홈리스행동’은 지난 16일 정부와 서울시에 노숙인이 코로나 백신 접종에 필요한 실질적인 조건을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주장욱 홈리스행동 활동가는 “사람이 모이지 못하게 하기 위해 역사 내 텔레비전 방송을 모두 ‘코레일 홍보 방송’으로 바꾸는 등 정보 전달 기능을 하는 매체와 장소가 통제됐다”고 주장했다.
노숙인은 백신을 맞고 사후관리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설문에 응답한 노숙인들은 “이상 반응 시 이용 가능한 의료지원, 쉴 수 있는 집이 필요하다”, “예방접종 정보를 제대로 알려주면 좋겠다”, “백신 맞고 쉬어야 한다는데 또 나와서 자야 하니 걱정이다” 등 반응을 보였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백신 접종 후 10~12시간 이내에 고열, 근육통, 피로감 등 이상 반응이 나타나 48시간 이내에 사라진다. 정부는 백신 접종자가 이상 반응에 대처하도록 각 기관과 기업 등 민간 부문에 대해 별도의 유급휴가 또는 병가 제도를 활용하도록 권고·지도하기도 했다.
하지만 노숙인에게 백신을 맞고 나서 휴식 공간을 찾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홈리스행동은 “질병관리청이 제시한 사후 관리는 ‘거리’에서는 불가능한 것이다, 백신 접종과 주거 지원을 연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분기 서울시가 밝힌 ‘거리 노숙인’ 접종 인원 256명 중 사후관리 및 지원이 이뤄진 인원은 47명(18.4%)으로 나타났다. 시설 보호가 아닌 주거 지원 연계는 5.5%였다.
백신을 접하기 어려우니 집단감염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이미 지난 2월 서울역 노숙인 시설 관련 집단감염 확진자는 60명을 넘어선 바 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해 12월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고 응급 잠자리, 무료 급식 등이 일시 중단되면서 노숙인들이 기본적 생존에 심각한 위기상황에 직면하게 됐다. 노숙인 의료 지원이 지체되거나 거부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서울시는 오는 7월 2차 접종 실시와 함께 거리상담, 급식 지원 현장 등에서 백신 미접종자에 대한 접종 독려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선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노숙인들은 거리 생활을 하므로 코로나 노출 위험이 더 큰 실정이다. 본인은 물론 주변으로 확산을 막기 위해 백신 접종이 먼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거리 노숙인 백신 접종 지원기관 관계자는 “신분증만 확보되면 백신 접종에 어려움이 없다. 지원센터에서 임시로 신분증도 발급해주고 보건소가 직접 방문하거나 차량 이동을 제공하기 때문에 백신을 맞고자 하는 의지만 있으면 접종을 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