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포스코에너지 등에 따르면 삼척발전소 공사 중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하루 손실액은 5억~6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10월 삼척발전소 공사로 인해 인근 맹방해변연안의 침식이 빨라진다는 논란이 제기되면서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우선적으로 ‘침식저감시설’을 설치하라고 명령했다. 삼척블루파워는 일단 공사를 중단하고 관계부처의 명령에 따라 1500억원에 달하는 비용을 투입해 지난 2월 침식저감시설 설치를 완료했다. 하지만 공사 재개는 이뤄지지 않았다.
해당 시설에 대한 한 차례 검토가 종료됐음에도, 새로운 위원회를 구성해 재차 검토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다. 우여곡절 끝에 이달 초 환경검증위원회가 출범했으나 별다른 활동이 없는 상황이다.
삼척발전소 공사의 사업비는 4조9000억원이다. 현재까지 약 2조7000억원이 집행됐으며, 사업참여자는 △포스코에너지(29%) △포스코건설(5%) △두산중공업(9%) △재무적투자자(57%) 등이다. 이들은 사업비 중 약 4조원을 차입으로 조달하기로 했으며 착공시기인 2018년 관련 차입 계약을 마친 상태다.
특히 사업시행사 삼척블루파워의 모회사인 포스코에너지가 짊어져야 할 부담이 상당하다. 투입비용의 3분의1 상당을 포스코에너지가 책임지게 되는데, 이자를 하루 1억원으로 계산해도 지난 8개월간 약 300억원에 달하는 비용을 날린 셈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기업 신용도에도 문제가 생겼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18일 삼척블루파워에 대한 신용등급을 기존 포스코에너지와 동급인 AA-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사업전망 불확실성이 확대됐다는 게 원인이다.
올해 1분기 기준 포스코에너지의 유동자산은 1조6126억원이다. 이 중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519억원 수준이다. 매입채무는 1176억원으로 지난해 말 415억원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했다. 공사 지연에 따른 손실이 계속될 경우 포스코에너지의 신용등급은 물론 재무상태도 장담하기 힘든 상황이다.
삼척시 내 다수의 시민단체들은 성명을 내고 “삼척화력발전소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노력한 주민들은 이제 빚더미에 앉게 생겼다”며 “삼척의 민생경제는 파탄 직전이다. 이제는 더 이상의 지역분열을 막기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할 때”라고 촉구했다.
삼척발전소 사업 자체가 취소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정부 여당은 석탄화력발전소 퇴출을 위해 ‘에너지전환 지원에 관한 법률안’ 제정을 추진 중이다. 해당 법은 원자력발전소와 석탄 화력발전소의 발전량을 전력수급기본계획 또는 에너지기본계획에 따라 줄이도록 하는 게 골자다.
에너지 전환을 위해 불가피하거나 공공 이익에 특히 필요한 경우임에도 협약 체결에 동의하지 않는 발전사업자는, 신설될 에너지전환지원위원회 심의·의결로 사업 지정을 철회할 수 있는 규정이 포함됐다. 원전과 화력발전소의 발전량을 제한하고 이를 거부할 경우 사업을 취소한다는 것이다. 현재 해당 법은 다음달 국회 소위 통과를 앞두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여당은 6월에 무조건 에너지전환지원법의 소위 통과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라며 “법이 제정되면 삼척은 물론 강릉, 서천 등 전국에서 건설 중인 7개 화력발전소 전부 발전소 강제취소를 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