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탈락 사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년도 지원과 예산 연초 조기 집행도 필요합니다.”
국내 콘텐츠산업 종사자들은 지난 13일 서울 중구 콘텐츠코리아랩(CKL) 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서 현장에서 필요한 것들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간담회에서는 일부 지원 사업의 법인 아닌 개인 자격 지원 허용 등 정부 지원방식에 대한 의견이 나왔다. 더불어 해외 디지털 마케팅 지원, 다큐멘터리 제작 활성화, 공연 취소에 따른 대관료 할인, 창업 종합 지원 등이 논의가 됐다.
문체부는 공청회를 통해 나온 의견들을 수렴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겠다는 구상이다.
문체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김영준)은 지난 5일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중음악 공연, 방송영상, 콘텐츠 수출 분야에 추가경정예산 363억원, 3200여명 규모의 일자리 지원 사업을 진행한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방송영상콘텐츠 제작인력 채용(45억원·400명), 해외수출콘텐츠기업 인력 지원(90억원·800명), 대중음악 공연 분야 일자리 지원(228억원·2000명) 등을 지원한다. 또한 오는 2027년까지 총 250억원 규모의 ‘콘텐츠 재기 지원 자금(펀드)’를 운용, 코로나로 인한 피해기업 또는 해당 기업의 사업에 투자해 기업 경영 정상화를 도울 계획이다.
지난 5일 발표한 지원 사업에는 구체적인 내용이 담겼다. 총 2000명에 대해 최장 6개월 간 월 180만원의 인건비를 지원한다. 신청대상은 개인과 사업자로 나눴다. 개인의 경우 대중음악 공연 분야 종사자로, 2019년 연소득 5000만원 이하이며 2020년 소득이 전년대비 25% 이상 감소하였거나, 2021년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인 미취업자 및 프리랜서는 누구나 신청 가능하도록 했다.
코로나 피해가 계속되고 있는 것도 문체부가 신경쓰고 있는 점이다. 현재는 코로나로 인한 업계 피해와 더불어 확진자도 계속 늘어나고 있는 어려운 상황이다. 공연 등의 제재에 대한 부분에 대해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다.
공연 업계 한 관계자는 “일자리 문제는 공연이 열리게 되면 해결해나갈 수 있는 부분이다”며 “일행 간 거리두기로 공연을 할 수만 있게 하더라도 일자리는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