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IPO]2~4분기 상장이 기대되는 中 유니콘은 어디?

2021-04-14 06:00
  • 글자크기 설정

올해 1분기 상장된 본토 기업만 143개... 27조원 규모 '사상 최대'

SCMP "바이트댄스·디디추싱·징둥물류 상장 기대"

올해 1분기 글로벌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중국 본토 기업들의 활약이 유난히 두드러졌다. 홍콩과 미국, 중국 본토 증시에 새롭게 이름을 올린 143개 기업이 조달한 금액만 무려 236억 달러(약 26조5400억원)에 달한다. 이는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기대를 모으는 점은 아직 자본시장 데뷔를 못 치른 중국 거대 유니콘(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 기업)이 수백 곳이란 점이다.

중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유니콘을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CB인사이트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전세계 유니콘은 611개로, 이 중 중국 기업은 23%에 해당하는 약 140개다. 이들 기업의 총 가치는 약 2조 달러에 달한다.

최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꼽은 2~4분기 IPO가 기대되는 중국 4개 유니콘을 소개한다.
 

[사진=바이두]

바이트댄스
짧은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앱) 틱톡 개발·운영사로 이름을 알린 바이트댄스는 몸값이 무려 1100억 달러 이상에 달한다.

2012년에 설립됐으며, 소프트뱅크, 제너럴애틀랜틱, 세쿼티아캐피털 등 세계 최대 벤처캐피털들을 투자자로 두고 있다. 총 11번의 투자라운드에서 약 44억 달러를 모금하며 기업가치를 높였다.

틱톡과 중국 전용 버전인 더우인, 뉴스검색 플랫폼 진르터우탸오, 소셜 미디어 서비스 헬로(Helo) 등이 주요 서비스다. 지난해 매출은 370억 달러로 지난 1분기 홍콩 상장에 성공한 더우인의 경쟁사 콰이서우의 4배에 달한다.

일각에서는 바이트 댄스가 상상하면 기업가치가 3500억 달러까지 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최근 장이밍 바이트댄스 대표가 더우인 분리 상장, 틱톡 분리 상장 등 자본시장 진출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다만 걸림돌이 있다. 미국 행정부가 지난해부터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등의 제재를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디디추싱
중국판 우버로 불리는 중국 차량공유업체 디디추싱도 연내 IPO가 기대되는 유니콘 중 하나다. 이미 최근 뉴욕증권거래소에 IPO신청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장의 투자 욕구를 부추기고 있다.

소프트뱅크의 비전펀드가 투자한 디디추싱의 IPO 규모는 약 10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알리바바 이후 두 번째로 큰 중국 기업의 미국 상장 사례가 된다. 앞서 알리바바는 2014년 뉴욕 IPO를 통해 250억 달러를 조달했다.

디디추싱은 이르면 오는 7월 상장을 완료할 수 있다고 시장에서는 예상한다. 블룸버그는 디디추싱이 상장을 마치면 기업가치가 700억~1000억 달러에 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사진=징둥물류 로고]

징둥물류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의 물류 부문인 징둥물류(JD Logistics)도 시장에서 기대하고 있는 IPO 대어 중 하나다. 징둥물류는 지난 2월 홍콩증권거래소에 IPO 신청서를 제출하고 홍콩 증시 입성을 기다리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쇼핑 규모가 커지면서 물류 업계의 빠른 성장세에 힘입어 자본시장 진출 도전에 나선 셈이다.

모회사인 징둥은 2014년 뉴욕 나스닥에 상장한 데 이어 지난해 6월 홍콩증시에 2차 상장했다. 징둥의 헬스케어 사업부인 징둥헬스 역시 지난해 12월 홍콩증시 입성에 성공한 상태다. 징둥물류가 계획대로 상장을 마친다면, 징둥 산하 3개 기업이 홍콩증시에 상장하는 셈이다.
 
메그비
중국 대표 인공지능(AI) 유니콘인 쾅스과기(메그비)도 상하이증권거래소 커촹반 상장을 추진 중이다. 지난달 IPO 신청서를 제출하고 최소 62억2000만 위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메그비는 밝혔다.

2011년 3명의 칭화대 졸업생들이 합심해 설립한 메그비는 당초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할 계획이었지만, 미국이 메그비를 블랙리스트에 포함시키면서 지난해 2월 신청이 취소된 바 있다.

기업가치는 지난 2019년 7억5000만 달러를 조달받은 후 4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