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는 스마트팜-연료전지 융합시스템 모델을 제시하고, 토마토 온실을 대상으로 에너지 소비량과 생산성 예측을 위한 실증연구를 수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최근 농업은 투입인력 대비 생산성이 높은 스마트팜 전환이 확대하는 분위기다. 다만 시설원예 농가의 경우 생산비의 40%를 차지하는 난방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숙제였다.
이번 비즈니스 모델은 연료전지발전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서 시설원예에 시비하고, 발생한 열은 온실 난방에 사용하는 구조다. 또 발전에너지는 한전에 판매해 수익도 거둔다.
발전사 참여형 모델은 발전사가 시설원예 근처에 연료전지 발전소를 건립해 전기를 생산, 신재생 의무 공급량을 달성하고 인근 농가에 열에너지와 이산화탄소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난방시설 설치비와 유지보수 관련 관리비가 들지 않는다는 점에서 농가의 경제성 향상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공사는 경상남도농업기술원과 협력해 올해에 토마토 온실을 대상으로 시설원예 에너지 소비량과 생산성 예측을 위한 검증을 진행 중이다.
실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인 협동조합 참여형의 ‘소규모 비즈니스 모델’과 발전사 참여형의 ‘대규모 비즈니스 모델’ 등 시나리오 별로 경제성을 평가한 후 정책 제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김인식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은 "농업에서도 변화된 환경에 맞는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라며 "이번 연료전지-시설원예 융합시스템의 개발과 실용화를 통해 농가수익 증대와 친환경에너지 생산, 관련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