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 쿠데타에 항의하는 미얀마 시민들의 불복종 저항 운동이 거세지고 있다. 군사정권은 쿠데타 이후 두 번째로 인터넷을 차단하고, 총기로 무장한 경찰을 시위 현장에 배치하는 등 고강도 대응에 나섰다.
현지 온라인 매체 '미얀마 나우'는 6일(현지시간) 오전 양곤 시내 곳곳에서 수천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항의 시위가 벌어졌다고 전했다. 이날 양곤에서 벌어진 시위는 지난 1일 군사 쿠데타 이후 최대 규모다. 로이터·AFP 통신 등 외신도 수천 명이 이날 항의 시위에 참여해 "군부 독재 타도" 등을 외치며 행진했다고 보도했다.
현지 언론이 전한 거리 시위 동영상에는 차량이 많은 도심에서 시위대가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끄는 민주주의 민족동맹(NLD)의 상징색인 빨간색 머리띠와 깃발을 흔들며 행진하는 모습이 담겼다. 이들은 태국 반정부 시위를 통해 널리 알려진 저항의 상징 '세 손가락' 경례를 하고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다.
또 다른 영상에는 쿠데타에 반대하는 문구가 적힌 대형 현수막을 들고 행진하는 시위대에 거리의 시민들이 박수를 보내는 모습과, 한 시민이 시위대에 앞장선 여성을 안아주는 장면도 보였다.
경찰은 시위대의 행진을 막았다. 방패를 든 경찰 뒤에는 총기를 든 경찰의 모습도 목격됐다. 미얀마에서는 1962년과 1988년 민주화운동 당시 군경이 시위대를 무자비하게 유혈 진압한 전례가 있다.
전날 양곤 대학가로 쿠데타에 항의하는 시민 불복종 운동이 확산한 데 이어 이날 도심 대규모 항의 시위가 일어나자 군정은 인터넷을 전격적으로 차단했다.
네트워크 모니터링 단체인 넷블록스는 오전 10시(현지시간·한국시간 낮 12시30분) 미얀마 전역에서 2차 인터넷 접속 불능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1차 인터넷 차단은 지난 1일 쿠데타 당일 발생했다.
미얀마 나우도 쿠데타 항의 시위가 확산하면서 군정이 모든 인터넷 선을 끊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미얀마 시민사회 단체는 인터넷 업체들이 군정의 인터넷 차단 지시를 거부할 것을 촉구했다.
군정은 시민 불복종 저항 운동을 막기 위해 전날 밤부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위터와 인스타그램 접속도 차단했다. 지난 3일에는 미얀마 국민 절반가량이 사용하는 페이스북 접속도 막은 바 있다.
현지 온라인 매체 '미얀마 나우'는 6일(현지시간) 오전 양곤 시내 곳곳에서 수천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항의 시위가 벌어졌다고 전했다. 이날 양곤에서 벌어진 시위는 지난 1일 군사 쿠데타 이후 최대 규모다. 로이터·AFP 통신 등 외신도 수천 명이 이날 항의 시위에 참여해 "군부 독재 타도" 등을 외치며 행진했다고 보도했다.
현지 언론이 전한 거리 시위 동영상에는 차량이 많은 도심에서 시위대가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끄는 민주주의 민족동맹(NLD)의 상징색인 빨간색 머리띠와 깃발을 흔들며 행진하는 모습이 담겼다. 이들은 태국 반정부 시위를 통해 널리 알려진 저항의 상징 '세 손가락' 경례를 하고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다.
또 다른 영상에는 쿠데타에 반대하는 문구가 적힌 대형 현수막을 들고 행진하는 시위대에 거리의 시민들이 박수를 보내는 모습과, 한 시민이 시위대에 앞장선 여성을 안아주는 장면도 보였다.
네트워크 모니터링 단체인 넷블록스는 오전 10시(현지시간·한국시간 낮 12시30분) 미얀마 전역에서 2차 인터넷 접속 불능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1차 인터넷 차단은 지난 1일 쿠데타 당일 발생했다.
미얀마 나우도 쿠데타 항의 시위가 확산하면서 군정이 모든 인터넷 선을 끊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미얀마 시민사회 단체는 인터넷 업체들이 군정의 인터넷 차단 지시를 거부할 것을 촉구했다.
군정은 시민 불복종 저항 운동을 막기 위해 전날 밤부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위터와 인스타그램 접속도 차단했다. 지난 3일에는 미얀마 국민 절반가량이 사용하는 페이스북 접속도 막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