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KO 공연예술창작산실 대본공모에서 선정된 희곡을 이제부터 서점에서 전자책을 통해 만날 수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종관·이하 예술위)는 2일 “지속적 창작지원을 통한 예술의 가치 확산을 위해 2019년과 2020년에 선정된 희곡 35편을 전자책으로 발행해 교보·알라딘·예스24·리디북스 등 국내 주요 온라인서점을 통해 올해 1월 하순부터 유통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이 사업을 통해 연극 8편의 낭독공연과 뮤지컬 4편의 피칭행사 등 프리프로덕션 단계의 무대화를 지원하여, 일반관객 및 전문평가단의 호평을 받았을 뿐더러 그 중 일부 작품은 제작자 매칭 및 판권판매 성과를 이뤘다.
‘공연예술창작산실’은 예술위의 대표적 지원사업으로 연극·무용·전통예술·창작뮤지컬·창작오페라 등 공연예술 전 장르에 걸쳐 프리프로덕션·공연·재공연까지 성장단계별로 지원하여 우수 창작 레퍼토리를 발굴하고 있다.
그 중 스토리텔링을 창작기반으로 하는 연극과 뮤지컬 분야에 한하여 국내 최대 상금이 주어지는 대본공모를 추진하고 있으며 연극 최대 3000만원(대본), 뮤지컬 최대 5000만원(대본과 작곡)의 집필료를 상금으로 수여한다. 또한 신청자 무기명 심의를 통한 공정하고 합리적인 절차로 중견 작가부터 신예작가까지 선정 기회가 펼쳐져 있다.
2021년도 창작산실 대본공모가 오는 2월 15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예술위 누리집‘공모사업’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전자책 출간은 대본 유통프로모션 주요 사업의 하나로, 희곡을 디지털 매체로 제작함으로써 다변화된 플랫폼 시대에 맞는 유통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즉 해마다 선정되는 우수희곡이 모여서 IP의 보고(寶庫)가 되고, 공연 및 영상 제작자 등 신작 스토리텔링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수요자와의 접점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간접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출판 사업은 뷰어형 전자책(e-Pub) 방식에 익숙지 않은 독자들을 위해 선주문 후제작 방식의 POD 출간도 병행한다. 출판 직전의 책 디자인이 완성된 디지털 원고를 준비해 두었다가 구매자가 주문하면 종이책으로 인쇄하는 출판 방식으로, 종이책과 전자책의 중간 형태다.
예술위 관계자는 “지원결과물 콘텐츠의 지속가능성 신장을 위한 제도 마련 필요성에 대한 현장의견을 받아들인 사업으로서, 공연예술 생태계 내 기저를 담당하는 대본작가를 위한 맞춤형 지원프로그램을 기획‧시행함으로써 코로나19 등으로 침체된 공연예술계 현장의 회복탄력성을 제고하고자 한다”고 기획의도를 밝혔다.
또한 “대부분의 대본 공모사업 당선작은 발표된 해가 지나면 공연으로 제작되지 않는 이상 다시 주목받기가 쉽지 않고, 한 작가가 여러 편의 작품을 모아야 희곡집으로 낼 수 있으므로 웬만한 경력을 쌓지 않은 작가는 출판을 꿈꾸기 어려운 형편이다“며 “하지만 문화를 소비하는 패러다임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스토리 기반의 우수한 IP 수요는 더욱 많아지고 나아가 저작권 보호에 대한 필요성도 강화되고 있다. 전자책 발간은 공모를 통해 발굴된 희곡이 사장되지 않고 수요자를 만나는 기회 창출은 물론이고, 정식 유통을 통해 저작재산권 보호의 기회를 제공할 거라 기대한다”고 피력했다.
한편 두 가지 종류의 출간을 마친 35편의 작품 및 작가는 다음과 같다.(연도별로 작가명 가나다순)
2019년 선정 작품 9편은 △언제나 늘 함께(김순영) △The Modern(서윤미) △나무는 서서 죽는다(신성우) △낮은 칼바람(신안진) △루나의 욕조(원인진) △바이러스 키드(차근호) △달문을 찾아서(하우) △아이, 동학을 만나다(한윤섭)이다.
2020년 선정 작품 26편은 △당신은 아들을 모른다(김나영) △필연의 장소(김성민) △눈은 눈으로 이는 이로(김성배) △셋톱박스(김승철) △냉장고로 들어온 아이(도은) △황천기담(문정연) △버건디 무키 채널 오프닝 멘트(박찬규) △쿠르드에서 온 카톡(박홍진) △생일파티(백미미) △릴리를 위하여(서윤미) △가면의 춤(신은수) △물고기 뱃속(윤미희 ) △플레이 디렉팅-코끼리를 무대에 올리는 방법(윤서비) △어느 나룻 뱃사공 이야기(이가을) △갈릴레이의 망원경(이난영) △우와 우와 우우우와(이미경) △쿠르간 Kurgan(이소연) △나쁘지 않은 날(이시원) △토카타(이주영) △서대문구 홍제2동(이지혜) △여로의 끝(이지훈) △슬라바 무곡(최민지) △질 드레(최준호) △월남 카피오스(최지은) △하우스 소나타(한현주) △한나 도일(홍순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