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남성, 고학력일수록 인공지능(AI)과 자동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5일 AI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민간 싱크탱크 퓨 리서치(Pew Research Center)가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 글로벌 20개국에서 AI 기술 개발과 로봇자동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구체적으로 AI 기술 개발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53%가 긍정적인 답변을, 33%가 부정적인 답변을 했다. 반면 로봇자동화의 경우 긍정적인 답변이 48%, 부정적인 답변이 42%로 조사됐다.
또한 아시아 국가, 젊은 남성, 높은 교육수준에 해당하는 응답자일수록 AI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AI 기술 개발의 경우 한국이 전체의 69%가 긍정적으로 답해 싱가포르(72%)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했다. 3~5위는 인도(67%), 대만(66%), 일본(65%) 순이었다.
로봇자동화의 경우 일본이 전체의 68%가 긍정적으로 답해 1위를 차지했고 한국(62%), 대만(62%), 싱가포르(6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프랑스는 20개국 중 유일하게 AI 기술 개발과 로봇자동화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가 긍정적인 평가보다 많았다. AI 기술 개발의 경우 부정 47%, 긍정 43%로 조사됐고, 로봇자동화는 부정 49%, 긍정 35%로 나타났다.
미국과 영국은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퓨 리서치에 따르면 모든 국가에서 젊은 남성층이 AI 기술 개발과 로봇자동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위값 이하 젊은 층이 고령층보다 AI 기술과 로봇자동화를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20개국 중 15개 국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미하게 AI 기술 개발과 로봇자동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특히 일본은 AI 기술 개발을 두고 남성은 75%, 여성은 56%가 긍정적으로 평가해 성별에 따른 인식차가 가장 큰 국가로 나타났다.
조사결과에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AI 기술 개발과 로봇자동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대졸 이상의 집단은 65%가 로봇자동화를 긍정적으로 본 반면 고졸 이하의 집단은 38%만이 로봇자동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관계자는 "아시아 국가의 AI와 자동화에 대한 높은 사회적 수용성은 국가 차원에서 AI 활용과 확산 전략을 추진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며 "한국의 'AI 국가 전략'과 '디지털 뉴딜', 일본의 '소사이어티 5.0', 싱가포르의 '스마트네이션' 등이 국가 차원에서 추진하는 AI·데이터 전략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설명했다.
퓨 리서치의 이번 조사는 전 세계 20개국 18세 이상 시민 2만여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