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에 대한 국내 면역률이 낮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정부가 곧 인구면역도 조사에 나선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21일 오후 충북 오송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해외 조사에서 항체 형성률이 높아야 20%인 것을 봐서는 국내 항체 형성률이 높을 것 같지 않다”며 “높은 형성률이 아니라면 기존의 방역수준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조만간 코로나19 국내 전파 규모를 확인하기 위한 인구면역도 조사를 시작한다.
이 조사는 코로나19에 감염된 사실을 모른 채 회복한 인구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보통 감염병에 걸린 뒤에는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항체가 형성된다.
항체 형성률이 매우 높으면 인구가 집단적 면역을 획득한 것으로 보고 방역수준을 완화할 수 있지만, 국내에서는 전국적인 대유행이 없었고 강도 높은 확진‧접촉자 격리가 시행됐기 때문에 항체 형성률이 높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집단면역이란 한 집단에서 일정 비율 이상이 감염병에 걸리면 집단 전체가 감염병에 저항력을 갖게 된다는 개념이다.
미국 뉴욕의 경우 지난달 실시한 무작위 검사 결과 주 전체의 항체 형성률이 13.9%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고, 뉴욕시만 보면 그 비율이 21.2%로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뉴욕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가 크게 유행한 스페인의 항체 형성률은 고작 5%에 불과했다. 마드리드 등 피해가 컸던 지역도 11∼14% 정도였다.
권 부본부장은 이런 사례를 들면서 “집단면역은 이론일 뿐 현실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없다”면서 “지역사회가 인구의 50∼60%가 감염병에 걸리게끔 놔두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