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문 대통령, 사우디 왕세자와 통화…“기업인 교류 허용해달라”

2020-03-24 23:45
  • 글자크기 설정

G20 화상회의 앞두고 정상외교…경제 영향 최소화 논의

모하메드 왕세자 “어떤 문제도 한국과 협력 준비 돼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모하메드 빈 살만 빈 압둘 아지즈 알 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부총리 및 국방장관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국제 공조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오는 26일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특별화상정상회의를 앞두고 오후 8시부터 20분간 모하메드 왕세자와 통화하면서 이같이 언급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에서 전했다.

문 대통령은 “전 세계가 코로나 사태로 어려움에 처해 G20의 공조가 절실하다고 생각했는데 사우디 측의 신속한 대응으로 모레 회의가 열린다”면서 “의장으로서 왕세자의 리더십을 높이 평가한다”고 운을 뗐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올해 G20 정상회의 의장국이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사태는 단순한 보건 차원의 문제를 넘어 경제·금융·사회 전 분야로 그 위기를 확산시키고 있다”면서 “이번 화상정상회의 개최는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부연했다.

이어 “코로나 확산 억제를 위해 인적 교류 제한은 불가피하지만 세계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면서 “각국의 방역 활동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업인의 활동 보장 등 국제협력 방안이 특별화상정상회의에서 깊이 있게 협의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모하메드 왕세자는 문 대통령의 말에 공감하면서 “어떠한 문제에도 한국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모하메드 왕세자는 이번 회의 의제로 △보건적인 면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통제 방벙 △코로나19가 경제에 끼친 부정적 영향 최소화 △코로나19가 정치에 미친 부정적 영향 최소화 △세계 무역교류 재개 등을 꼽았다고 강 대변인이 전했다.

그는 “G20은 지난 2008년 세계 금융위기를 극복한 사례가 있다”면서 “보건위기를 극복하고, 전 세계 성장 회복을 주도하는데 G20 국가의 역할이 크다”고 했다.

그러면서 “위기를 함께 극복하기 위해 한국과는 양자적 협력도 함께 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건강상태확인서 소지 등 일정 방역조건을 만족하는 기업인들에 대해서는 교류가 허용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당부한다”고 했다.

모하메드 왕세자는 “한국은 개인적으로나 사우디아라비아 국민으로서나 늘 존경하고 높이 평가하는 나라”라며 “한국에 도움 되는 것은 별도로 조치할 것이고, 사우디아라비아가 필요한 것은 요청하겠다”고 답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후 청와대 관저에서 모하메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와 통화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후 청와대 관저에서 모하메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와 통화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