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11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모든 입국자에 대한 검역강화 조치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해외유입에 따른 코로나19 확진자가 계속해서 늘어나자 정세균 총리는 유럽 외 다른 국가의 입국자에 대해 검역강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중대본은 모든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특히, 미국발 입국자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면서 유럽발 입국자와 같이 미국발 입국자 역시 코로나19 전수조사를 실시하는 것을 두고 고민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발 입국자는 유럽발 입국자보다 훨씬 많아 관리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전체 입국자는 하루 평균 1만여명으로, 이들을 전수 조사하기 위해서는 보다 확대된 인프라가 필요하다.
현재 유럽발 입국자의 경우 입국 도중 검역소에서 발열, 기침 등 증상이 있는 사람은 검역소 격리시설에서 격리‧진단검사를 실시하고, 결과가 나오기까지 대기한다. 검역단계에서 증상이 없는 입국자는 임시생활시설 8곳으로 이동해 진단검사를 받는다.
그러나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방대본)는 검역단계에서 증상이 없는 내국인의 경우 임시생활시설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귀가해 자가격리하는 것으로 조치를 변경하겠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후 관할보건소에서 3일 내에 코로나19 검사를 받게 된다. 또 기존에 확보한 임시생활시설 중 일부는 유증상자 격리시설로 전환해 사용한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자원을 유증상자에 집중해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이 같이 변경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같은 조치는 앞으로 입국자 모두를 임시생활시설에서 관리할 경우, 시설과 의료인력 등 인프라 부족으로 운영이 쉽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가 앞서 확보한 임시생활시설을 합치면 약 1300실 정도로, 유럽발 하루 입국자를 가까스로 수용할 수 있다.
때문에 이를 모든 입국자로 확대한다면 훨씬 많은 인력과 시설이 필요한 상황이다. 게다가 현재 검역소 격리시설에도 다수 유증상자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대기가 길어지는 등 검역소마저도 운영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비용 역시 부담이 크다. 정부는 유럽발 입국자 코로나19 검사비용(1건 당 16만원)을 모두 국고로 부담하고 있다. 이는 하루 평균 약 2억원이 넘는데, 모든 입국자로 확대할 경우 부담은 훨씬 커진다.
윤태호 중대본 방역총괄반장은 “미국 등을 포함한 나머지 국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유럽의 위험도만큼은 아니지만 계속 유의주시하고 있다”며 “모든 입국자에 대한 검역강화 조치에 대해서는 조만간 확정 되는대로 발표하겠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24/20200324172833317456.jpg)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