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까지 사태 인식이 안일하다는 비판을 받았던 정부가 뒤늦게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활용했던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 경제 살리기에 나섰다. 2008년 보다 두 배 규모로 금융시장 유동성을 공급하는 동시에 금융지원 대상도 확대했다.
정부는 24일 위기 상황을 맞은 기업과 금융시장에 총 100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크게 보면 위기에 빠진 기업과 자영업자에 대한 금융지원 규모가 58조3000억원, 회사채와 주식·단기자금 시장에 공급되는 유동성이 41조8000억원에 달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활용했던 모든 대책을 더 강도 높게 담았다. 그동안 안일하다는 비판을 받았던 정부가 작심하고 모든 정책 수단을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례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이달 초 기준금리를 전격 인하했으며, 지난 17일에는 역대급 부양책을 내놨다. 반면, 우리나라는 19일에서야 제1차 비상경제회의가 열려 주요국보다 코로나19 대응책이 늦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채안펀드 2008년의 두 배 규모··· 회사채·단기자금시장에 31.3조 투입
우선 얼어붙은 회사채 시장의 투자심리를 회복하기 위해 대규모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한다. 채안펀드는 우선 10조원을 즉시 가동하고, 10조원을 추가 조성한다.
이 역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활용된 정책으로, 그 당시 10조원보다 규모가 2배 늘어난 수준이다.
채안펀드뿐 아니라 회사채 신속인수제도 시행, 산업은행의 회사채 차환발행 지원, 국책은행의 우량 CP·전단채 매입, 증권금융·한국은행의 증권사에 대한 유동성 확대 등 회사채·단기자금시장 안정에 총 31조3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증권사에 막대한 유동성 공급··· 시장 원하는 모든 방안 수용
정부는 자본시장 안정화를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아끼지 않았다. 특히 증권사에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해 펀드런을 차단하고 콜 차입 한도를 늘리는 등 시장이 원하는 모든 방안을 수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단기자금시장의 안정을 위해 7조원을 투입한다. 글로벌 증시 급락에 따른 주가연계증권(ELS) 손실로 급전이 필요해진 증권사들이 기업어음(CP)을 포함한 자산 매각에 나서면서 단기금융시장에서 왜곡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증권사들이 보유 주식을 담보로 2조5000억원의 자금을 수혈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한국은행은 2008년 이후 2조5000억원 규모의 환매조건부채권(RP)을 매입한다. 당초 한은은 두어 차례 추가적으로 테스트 매입을 거칠 예정이었지만 상황이 시급해 이날부터 본격적으로 매입에 나섰다.
아울러 정부는 증권사의 콜차입 한도 및 자산운용사의 콜론 한도를 한시적으로 확대키로 했다. 현행 증권사의 콜차입 한도 규모는 국고채 딜러 등 일부 증권사를 기준으로 자기자본 15% 이내였으나 30%로 크게 완화됐다.
주가급락에 따른 자본시장의 요동을 막기 위해 10조7000억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펀드도 조성된다. 1차로 투입되는 3조원 규모의 자금은 코스피200 등 증권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상품에 투자될 예정이다.
◆2008년보다 금융지원 대상 확대··· '자구노력' 대기업도 포함
아울러 기존에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으로 한정됐던 금융지원 대상으로 대기업이 포함된 것이 눈에 띈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활용됐던 방식이다. 다만 2008년에는 금융지원 대상이 중소기업·소상공인으로 한정됐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대다수 대기업이 자금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일시적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는 대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겠다고 정부 방침을 설명했다. 아울러 대기업이 금융 지원에 의지하기 전에 '국민이 납득할 만한 수준'의 자구노력을 거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기업이 코로나19로 인해 비롯된 일시적 자금난으로 도산하는 것을 막고자 하는 취지에서 지원이 불가피하지만, 특혜 논란이 불거지지 않도록 어느 정도의 자구노력을 요구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은 위원장은 "대응책 규모가 2008년 금융위기보다 커졌다"며 "그 때보다 위기가 깊다는 의미가 아니라 시장 안정화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대응을 해야 한다는 판단에서 정책을 폈다"고 말했다.
정부는 24일 위기 상황을 맞은 기업과 금융시장에 총 100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크게 보면 위기에 빠진 기업과 자영업자에 대한 금융지원 규모가 58조3000억원, 회사채와 주식·단기자금 시장에 공급되는 유동성이 41조8000억원에 달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활용했던 모든 대책을 더 강도 높게 담았다. 그동안 안일하다는 비판을 받았던 정부가 작심하고 모든 정책 수단을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례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이달 초 기준금리를 전격 인하했으며, 지난 17일에는 역대급 부양책을 내놨다. 반면, 우리나라는 19일에서야 제1차 비상경제회의가 열려 주요국보다 코로나19 대응책이 늦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채안펀드 2008년의 두 배 규모··· 회사채·단기자금시장에 31.3조 투입
우선 얼어붙은 회사채 시장의 투자심리를 회복하기 위해 대규모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한다. 채안펀드는 우선 10조원을 즉시 가동하고, 10조원을 추가 조성한다.
이 역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활용된 정책으로, 그 당시 10조원보다 규모가 2배 늘어난 수준이다.
채안펀드뿐 아니라 회사채 신속인수제도 시행, 산업은행의 회사채 차환발행 지원, 국책은행의 우량 CP·전단채 매입, 증권금융·한국은행의 증권사에 대한 유동성 확대 등 회사채·단기자금시장 안정에 총 31조3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미지 확대
![[사진=금융위원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24/20200324162730278220.jpg)
[사진=금융위원회]
정부는 자본시장 안정화를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아끼지 않았다. 특히 증권사에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해 펀드런을 차단하고 콜 차입 한도를 늘리는 등 시장이 원하는 모든 방안을 수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단기자금시장의 안정을 위해 7조원을 투입한다. 글로벌 증시 급락에 따른 주가연계증권(ELS) 손실로 급전이 필요해진 증권사들이 기업어음(CP)을 포함한 자산 매각에 나서면서 단기금융시장에서 왜곡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증권사들이 보유 주식을 담보로 2조5000억원의 자금을 수혈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한국은행은 2008년 이후 2조5000억원 규모의 환매조건부채권(RP)을 매입한다. 당초 한은은 두어 차례 추가적으로 테스트 매입을 거칠 예정이었지만 상황이 시급해 이날부터 본격적으로 매입에 나섰다.
아울러 정부는 증권사의 콜차입 한도 및 자산운용사의 콜론 한도를 한시적으로 확대키로 했다. 현행 증권사의 콜차입 한도 규모는 국고채 딜러 등 일부 증권사를 기준으로 자기자본 15% 이내였으나 30%로 크게 완화됐다.
주가급락에 따른 자본시장의 요동을 막기 위해 10조7000억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펀드도 조성된다. 1차로 투입되는 3조원 규모의 자금은 코스피200 등 증권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상품에 투자될 예정이다.
◆2008년보다 금융지원 대상 확대··· '자구노력' 대기업도 포함
아울러 기존에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으로 한정됐던 금융지원 대상으로 대기업이 포함된 것이 눈에 띈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활용됐던 방식이다. 다만 2008년에는 금융지원 대상이 중소기업·소상공인으로 한정됐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대다수 대기업이 자금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일시적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는 대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겠다고 정부 방침을 설명했다. 아울러 대기업이 금융 지원에 의지하기 전에 '국민이 납득할 만한 수준'의 자구노력을 거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기업이 코로나19로 인해 비롯된 일시적 자금난으로 도산하는 것을 막고자 하는 취지에서 지원이 불가피하지만, 특혜 논란이 불거지지 않도록 어느 정도의 자구노력을 요구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은 위원장은 "대응책 규모가 2008년 금융위기보다 커졌다"며 "그 때보다 위기가 깊다는 의미가 아니라 시장 안정화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대응을 해야 한다는 판단에서 정책을 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 발표하는 은성수 금융위원장[사진=연합뉴스 제공]](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24/20200324162824545599.jpg)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 발표하는 은성수 금융위원장[사진=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