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24/20200324163904217060.jpg)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증가폭이 둔화되는 가운데 해외에서 유입되는 확진자가 늘면서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방역당국은 한국 바깥에서 감염된 뒤 국내로 들어오는 역유입 위험을 최대한 차단하는 한편 국내에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감염 확산을 막는 데 주력하고 있다.
24일 권준욱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국립보건연구원장)은 충북 오송 질본에서 열린 방대본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 누적 확진자수는 전날대비 76명 늘어난 9037명, 사망자는 전날대비 13명 늘어난 124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방대본은 확진자 9037명 가운데 해외에서 역유입된 확진자는 이날까지 171명이라고 밝혔다. 전날 발생한 신규확진자 76명 가운데 해외 유입사례만 봐도 전체의 28.9%에 해당하는 22명이다. 유럽과 미국이 가장 많은데 입국자의 약 90%는 유학생, 출장, 주재원, 교민 등 내국인이라는 게 방대본 설명이다.
방역당국은 해외 발생 사례가 늘고 있는 만큼 지난 22일부터 유럽발 모든 입국자에 대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실시 중이다. 전일 입국한 1203명 가운데 유증상자는 101명, 무증상자는 1102명이다.
방대본은 우선 유증상자 중심으로 검역 대응을 하되, 이날 오후 2시부터 내국인 무증상자는 자가격리를 하도록 의무화했다. 기존에는 격리시설에서 검사를 한 뒤 자가격리가 원칙이었지만 의료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 오늘부터 무증상 입국자는 자가격리를 유지하면서 관할 보건소에서 입국 후 3일 이내 검사를 진행한다.
외국인은 시설 격리 후 검사가 진행된다. 장기 체류자는 음성인 경우 14일간 자가격리 조치하고, 단기 체류자는 능동감시를 수행한다.
기존 확보된 입국자 검사대기 격리시설 중 일부는 유증상자 격리시설로 전환한다. 유증상자에 대해서는 현행과 동일하게 공항에서 검사를 실시하고 양성일 경우 중증도에 따라 입원 또는 시설 격리된다.
방역당국은 해외 여행은 가급적 연기하거나 취소하고, 불가피하게 해외로 나갔다 입국할 때는 기침, 발열 등 의심증상을 검역관에게 자진신고하고, 자가관리앱 설치 등 특별입국절차를 준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사례는 대부분 집단감염과 관계가 있다. 방대본에 따르면 코로나19의 80.4%는 집단발생, 기타 산발적 발생사례 또는 조사 분류중인 사례는 19.6%로 나타났다.
서울시 구로구 소재 콜센터에서는 자가격리 하던 2명이 추가로 확진돼 이날까지 158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동일건물에서 일하던 직원 97명과 그들과 접촉한 61명이다.
경기에서는 군포시 소재한 효사랑요양원에서도 8명(입소자 5명, 직원 3명)이 격리 중 추가로 확진돼 현재까지 14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고위험 집단시설에 대한 전수조사가 진행중인 대구에서는 현재까지 검사결과가 나온 3만2413명 가운데 0.7%에 해당하는 224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권준욱 부본부장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호흡기 감염병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나날들을 보내고 있다"면서 "다음달 5일까지 2주간 진행되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국민이 적극적인 동참을 해주길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어제 인구의 60%이상이 코로나19에 감염돼 면연력을 가져야 유행을 억제할 수 있다는 중앙임상위의 의견도 나왔지만 지역사회가 면역력을 갖추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접촉을 줄여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라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잘 이뤄지면 전체인구의 60%가 면연력을 갖추는 방어력 만큼이나 효과를 거둘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