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집단면역" 가능할까?···장기전 대비해야

2020-03-24 09:05
  • 글자크기 설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전으로 가면서 국내에서 '집단면역'(herd immunity) 형성을 유도하는 것이 해법이 될 수 있을지에 이목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감염병은 궁극적으로 집단면역이 형성돼야 종식되지만, 집단면역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방역정책을 끌고 갈 순 없다고 조언한다.
 
이미지 확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4일 의료계는 코로나19는 국민 대다수가 면역력을 가져야 종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에서는 집단면역을 가져야 하는 기준이 전체의 60% 수준이 돼야 한다고 봤다.
집단면역은 한 인구집단 중에 특정 감염병에 대한 면역력을 가진 사람이 많을 때 그 질환에 대한 전체 인구집단의 저항력이 향상되는 것을 말한다.

전파력이 높은 감염병일수록 면역력을 갖는 인구가 많아야 집단면역이 형성된다. 공기로 전파되는 홍역의 경우 인구의 95%가 면역력을 갖춰야 집단면역이 생긴다고 본다.

면역력을 갖추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예방접종'이다. 정부가 독감, 홍역 등 감염병의 예방접종을 권고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하지만 코로나19는 백신이 없고, 개발까지 1년은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예방접종 없이 면역력을 획득하려면 코로나19에 걸렸다가 나아야 한다. 우리 몸은 병원체가 들어오면 이에 맞서 싸우기 위해 항체를 만든다. 항체가 병원체를 몰아내는 게 '자연치유'다. 예방접종은 병에 걸리기 전 이 항체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결국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집단면역이 형성되게 하려면 감염이 확산하도록 방치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어떤 방역정책을 쓰느냐에 따라 사회가 치를 대가에도 차이가 생긴다.

방역을 느슨하게 하면 감염이 확산해 집단면역은 빨리 생기겠지만, 코로나19 초기 중국이나 현재 유럽처럼 많은 사망자 발생을 감수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의료시스템이 제 기능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환자가 발생하는 수준으로 유행을 통제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 과정에서 사회가 서서히 집단면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은 "인구 60%가 면역을 가졌을 때 (코로나19의) 확산을 멈출 수 있다"며 "인구집단 면역을 일시적으로 끌어올리는 방법은 예방접종밖에 없는데 코로나19 백신이 나오려면 12개월은 기다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해외 유입을 차단하고, 확진자의 접촉자를 찾아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는 '억제정책'을 유지할지, 학교 개학 등과 같은 일상생활을 회복할지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 위원장은 "그동안 정부의 방역정책은 억제 정책이었는데 어느 정도 컨트롤이 됐다"며 "하지만 모든 방역 조치를 총동원하는 억제조치는 계속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억제정책을 지속할지 완화할지는 건강, 사회, 경제, 문화,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며 "방역정책의 결정은 과학적 근거와 사회 구성원의 이해와 합의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