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를 만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지속을 위한 노력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35분간 청와대에서 비건 대표를 접견하고, 그간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비건 대표의 노력을 평가하면서 이같이 언급했다고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에 비건 대표는 "대화와 협상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구축이라는 역사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답했다.
앞서 비건 대표는 이날 오전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한·미 북핵수석대표협의를 가진 뒤 약식 회견을 갖고 카운터파트(대화상대방)로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을 사실상 겨냥, 공개적으로 회동을 제안해 눈길을 끌었다.
비건 대표는 이날 회견에서 "분명한 것은 미국은 미·북 정상의 합의사항을 실천한다는 목표에 있어 '데드라인(시한)'은 없다는 것"이라면서 "북한의 카운터파트에게 직접적으로 말하겠다. 우리는 이제 다시 일할 때이고, 일을 완수하자"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여기에 있고, 당신들(북한)은 우리에게 어떻게 접촉할지 알고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대북협상의 실질적 권한을 위임받은 '키맨'인 비건 대표가 북한을 향해 '대화 재개 시그널(신호)'을 잇달아 발신하면서 북·미 간 대화가 재개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이신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비건 대표의 제안에도 북·미 접촉이 불발될 경우 당초 수순대로라면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이어지고 미국이 제재 강화에 나서면서 초강경 대치 국면이 형성될 것"이라면서도 "그러기에는 북한이 현재 경제 상황 등으로 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데드라인도 두지 않고, 회담을 재개하자는 미국의 유화적인 태도에도 북한이 강대강 국면으로 가기에는 리스크가 크다"고 분석했다.
다만 북한이 제시한 '연말 시한'을 앞두고 한반도를 둘러싼 전운이 짙어진 상황인 만큼 이 같은 미국의 요구에 북한이 응답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비건 대표가 '빈손'으로 방한해 '빈손'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한다"며 "북한이 기다리는 것은 단순한 회동이 아니라 생존권과 발전권에 대한 셈법 전환"이라고 지적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또한 "미국이 북한에 손에 잡히는 뭔가를 주기 이전까지 양국 간 접촉이 성사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건 대표는 이날 조세영 외교부 1차관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김연철 통일부 장관 등을 두루 만난 후 평택 주한미군기지를 방문하고 한·미 외교당국 간 리셉션에 참석하는 등 여러 방한 일정을 소화했다. 비건 대표는 17일 오후 일본으로 출국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35분간 청와대에서 비건 대표를 접견하고, 그간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비건 대표의 노력을 평가하면서 이같이 언급했다고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에 비건 대표는 "대화와 협상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구축이라는 역사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답했다.
비건 대표는 이날 회견에서 "분명한 것은 미국은 미·북 정상의 합의사항을 실천한다는 목표에 있어 '데드라인(시한)'은 없다는 것"이라면서 "북한의 카운터파트에게 직접적으로 말하겠다. 우리는 이제 다시 일할 때이고, 일을 완수하자"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여기에 있고, 당신들(북한)은 우리에게 어떻게 접촉할지 알고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대북협상의 실질적 권한을 위임받은 '키맨'인 비건 대표가 북한을 향해 '대화 재개 시그널(신호)'을 잇달아 발신하면서 북·미 간 대화가 재개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이신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비건 대표의 제안에도 북·미 접촉이 불발될 경우 당초 수순대로라면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이어지고 미국이 제재 강화에 나서면서 초강경 대치 국면이 형성될 것"이라면서도 "그러기에는 북한이 현재 경제 상황 등으로 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데드라인도 두지 않고, 회담을 재개하자는 미국의 유화적인 태도에도 북한이 강대강 국면으로 가기에는 리스크가 크다"고 분석했다.
다만 북한이 제시한 '연말 시한'을 앞두고 한반도를 둘러싼 전운이 짙어진 상황인 만큼 이 같은 미국의 요구에 북한이 응답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비건 대표가 '빈손'으로 방한해 '빈손'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한다"며 "북한이 기다리는 것은 단순한 회동이 아니라 생존권과 발전권에 대한 셈법 전환"이라고 지적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또한 "미국이 북한에 손에 잡히는 뭔가를 주기 이전까지 양국 간 접촉이 성사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