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 서울 일부지역의 유·무선전화, 인터넷, IPTV, 카드결제 서비스 등 통신망이 먹통이 됐다. KT 아현국사에서 발생한 화재 때문이다. 서울 일부 지역의 생활 인프라가 마비돼 약 470억원 규모의 피해액을 남긴 최악의 통신 재난으로 기록됐다. 정부와 KT는 재발을 막겠다는 각오로 통신재난 대응 계획을 새롭게 만들고 철저한 대비에 나섰다.
◆ 일상 마비시킨 '통신재난'… 5G 초연결 시대에 경종 울리다
2018년 11월 24일. 첫눈이 내리던 주말 오전은 요란한 재난 문자와 함께 시작됐다. 이날 오전 11시경 KT 아현국사의 지하 통신구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사고 현장에 투입된 화재진압 인력은 총 210명. 동원된 진압장비만 62대에 달했다. 화재는 10여시간 만에 진압됐지만 150m에 달하는 광케이블과 동케이블이 소실됐다. KT가 추산한 물적 피해는 470억원 규모다.
통신구 화재가 재난 문자까지 동원될 일인가에 대한 의아함은 피해 상황이 전해지자 순식간에 경악으로 바뀌었다. 이날 화재 여파로 서울 서대문구와 용산구, 마포구, 중구, 은평구 일대의 KT 유무선 통신망이 먹통이 됐다. 전화는 물론 인터넷과 IPTV(인터넷TV)도 10시간 이상 마비됐다. 휴대폰과 IPTV를 결합해 사용하는 가구에서는 외부로 연결되는 모든 창구가 단절됐다. KT와 일부 통신망을 공유하는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의 피해도 덩달아 발생했다.
통신망의 마비는 전화 불통 이상의 사회적 재난으로 이어졌다. ATM(현금자동입출금기)과 지하철 물품 보관소도 작동되지 않았다. 카드결제가 막히자 소상공인들의 피해도 불어났다. 택배기사와 배달업체 등 통신연결이 필수였던 사업자들은 장사를 접어야 했다.
KT는 화재로 인해 피해를 입은 이용자들과 소상공인들에게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의 보상을 제시하며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피해지역의 약 80만명에 이르는 KT 이용자들이 한 달 또는 그 이상의 요금을 감면받았다. 소상공인들에게 지급된 피해보상 금액은 62억원에 달했다.
화재 직후 유영민 당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통3사 최고경영자(CEO)들을 소집해 긴급 회동하고, 통신재난이 초래할 사회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함께 힘을 모으기로 약속했다.
아현국사 화재는 5G(5세대 이동통신) 전파 발사를 불과 일주일 앞두고 발생해 충격이 더 컸다. 5G로 도래할 초연결 시대에 대한 기대감은 통신이 마비됐을 때 상상을 초월한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로 변했다. 이통3사는 바로 다음주로 예정됐던 5G 기자간담회를 줄줄이 취소하고 재난 대응책 마련을 위해 분주하게 움직였다.
◆ KT 재발 방지위해 4800억원 투입... 정부 통신시설 점검 주기 축소
KT 아현국사 화재 당시 피해 지역은 112 통신시스템을 포함해 모든 유·무선 통신망이 끊겼다. 아현국사 화재로 정부와 KT는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시설 관리의 중요성을 깨닫고,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방재 대책을 세우고 관련 조직을 신설했다.
KT는 피해를 입은 KT 유무선 가입 고객에게 1개월 요금을 감면하고 화재 피해가 컸던 동케이블 기반 인터넷 고객과 일반전화 고객에게는 각 2개월, 5개월의 요금을 감면하는 조치를 신속히 결정했다. 요금 감면 대상은 중복된 인원을 제외하고 약 79만6000명에 달했다.
KT는 소상공인을 위해 국회, 소상공인연합회, 시민단체 전문가 등과 'KT 화재 상생보상협의체'를 꾸렸다. 피해 지역 소상공인의 통신 서비스 장애복구 기간에 따라 40만원에서 120만원의 지원금을 보상하기로 합의했다. KT 측에 따르면 접수된 피해 1만3550건 중 99.2%에 달하는 1만3442건에 대한 지급을 끝냈다.
상생보상협의체를 주관한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와 정부, 기업, 소상공인이 대화와 타협으로 문제를 해결한 선례로 기억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KT는 정부의 통신재난방지 강화대책을 반영한 '통신재난 대응계획'도 만들었다. KT는 3년간 4800억원을 투자해 통신구 감시와 소방시설 보강, 통신국사 전송로 이원화, 수전시설 이원화, 통신주와 맨홀 개선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5월에는 인적 조직도 보강했다. 네트워크 부문 직속으로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총괄하는 '인프라운용혁신실'을 만들고 네트워크와 관련된 모든 과정을 인프라실로 통합시켰다. 대규모 긴급 통신 복구 훈련을 정기적으로 시행해 대처 능력도 강화했다. KT는 전국 통신주 464만개와 맨홀 79만개, 통신구 230개(286㎞) 등 외부 통신시설(OSP)에 대한 전수 조사도 진행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2월 '통신재난 방지와 통신망 안정성 강화 대책'을 발표하고 통신재난 때 타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화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모든 통신구는 소방시설을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했다. 통신시설 점검 주기도 축소해 대상을 D급 시설까지 확대했다. 2년에 한 번 점검을 받던 A~C 등급의 시설은 1년으로, 점검을 받지 않던 D급 시설은 2년 주기로 점검을 받게 됐다.
정부는 주요통신시설이 미치는 범위에 따라 등급을 분류했다. 구체적인 등급은 A급(수도권 등 광역권역), B급(광역시·도), C급(3개 이상 시·군·구), D급(단일 시·군·구)이며, A~C급은 정부가 직접 관리하고 D급은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관리한다. 아현국사는 D급 시설이었지만, 지난 화재 이후 아현국사를 비롯해 8곳이 C급으로 상향 조정됐다.
◆ 5G 시대 더 큰 재난 막기 위해 AI 활용... 통신망 이원화도 추진
5G 서비스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기술과 결합해 새로운 ICT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 5G 시대 통신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면서 통신 재난의 심각성은 더욱 커졌다.
지난 9월 4일 KT는 대전 유성구 대덕연구단지에서 '통신기반 인프라 혁신기술'을 발표했다. 황창규 KT 회장은 이날 행사에서 "다시 한번 아현지사 화재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한다"며 "KT는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 네트워크 인프라 혁신과 연구·개발에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아현국사 화재로 유선인프라의 가치를 깊이 깨닫는 계기가 됐다"고도 했다.
KT는 이 자리에서 5G와 AI, 로봇을 활용한 외부통신시설(OSP) 관리 시스템 '아타카마(ATACAMA)'를 공개했다. 아타카마는 KT가 세운 통신재난 대응 계획의 결과물 중 하나다.
50억원을 투자해 개발한 아타카마는 기지국, 서버, 통신구, 맨홀 등 통신 인프라의 모든 과정을 통합 관리한다. 기존 기술로 100분이 걸리던 광케이블망 설계 작업은 아타카마를 사용하면 5분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 AI가 이원화 루트를 자동 설계해 네트워크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여준다. 네트워크망의 위치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돼 네트워크 장애 처리 시간도 줄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9월 19일, '2020년 통신재난관리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2020년까지 모든 주요 통신시설에 잠금장치와 CC(폐쇄회로)TV를 설치하고, 재난 대응인력 또는 감시시스템을 상시 운용체제로 구축한다. 전체 주요통신시설도 863개에서 897개까지 늘었다.
21일, KT 아현국사를 방문한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화재 발생 1년이 지나 통신 재난의 심각성을 알게 됐고, 경제적인 손실도 상당했다"며 "초연결사회에서 통신망 장애는 큰 혼란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어떤 환경에서도 끊김 없이 통신망이 작동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과기정통부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등 통신 4사와 통신재난 방지대책 추진현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통신 4사는 잠금장치 설치와 CCTV 보강을 올해까지 완료하고 통신망 이원화와 전력공급망 이원화는 2021년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통신사별로 보유하는 통신구, 관로, 광케이블 등 주요 통신설비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통합운용 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통신망 이원화는 통신사의 회선이 불능상태가 되면 다른 통신사의 회선으로 대체되는 개념이다.
전문가들은 KT와 정부 대처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도 재발 방지에 더욱 힘을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지하 통신구는 화재 감지를 빨리해도 일반 건물보다 진화가 어려워 근본적인 대처가 어렵다"며 "법으로 강제해서라도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불을 끄는 물분무소화설비나 공기압축포소화설비 같은 자동소방설비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동현 한성대 융복합교양교육학부 교수는 "통신 재난 시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만드는 게 시급하다"며 "아현 국사 화재는 통신망 두절과 소상공인의 영업에 지장을 준 게 커서 통신망 이원화로 사고가 났을 때 통신을 우회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황 교수는 "국회와 KT가 손해배상 규정을 넘어선 고객 보상을 진행한 것은 칭찬해 주고 싶다"며 "앞으로 이동통신 약관에 이번 사례를 명시해 또 이런 피해가 났을 때 분쟁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통신장애 발생 시 어떡해야 하죠?… 방통위, 행동요령 배포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장애가 일어날 경우 자영업자와 이용자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담은 '통신장애 시 이용자 행동요령'을 공개했다.
갑작스러운 무선통신 두절 시 이용자는 먼저 휴대폰 자가 진단을 시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전원을 끄고 다시 켜보거나,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해야 한다. 유심 분리 후 재장착하는 등 단말기와 기지국 연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행동을 실시해 단말기나 유심카드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가입한 이동통신사 고객센터(114)에 통화 연결이 될 경우 고객센터를 통해 장애 여부를 확인해볼 수도 있다.
만약 유선 통신이 안된다면 초고속(유선) 인터넷과 IPTV 작동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인터넷 연결선 접속 여부를 확인하고, PC나 셋톱박스의 전원을 끄고 다시 켜봐야 한다. TV를 외부모드로 전환해 지상파TV가 정상 수신되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자가 진단 후에도 통신장애가 계속되면 주위에 다른 통신사를 이용하는 사람을 통해 통신장애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2018년 11월 24일. 첫눈이 내리던 주말 오전은 요란한 재난 문자와 함께 시작됐다. 이날 오전 11시경 KT 아현국사의 지하 통신구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사고 현장에 투입된 화재진압 인력은 총 210명. 동원된 진압장비만 62대에 달했다. 화재는 10여시간 만에 진압됐지만 150m에 달하는 광케이블과 동케이블이 소실됐다. KT가 추산한 물적 피해는 470억원 규모다.
통신구 화재가 재난 문자까지 동원될 일인가에 대한 의아함은 피해 상황이 전해지자 순식간에 경악으로 바뀌었다. 이날 화재 여파로 서울 서대문구와 용산구, 마포구, 중구, 은평구 일대의 KT 유무선 통신망이 먹통이 됐다. 전화는 물론 인터넷과 IPTV(인터넷TV)도 10시간 이상 마비됐다. 휴대폰과 IPTV를 결합해 사용하는 가구에서는 외부로 연결되는 모든 창구가 단절됐다. KT와 일부 통신망을 공유하는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의 피해도 덩달아 발생했다.
화재 직후 유영민 당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통3사 최고경영자(CEO)들을 소집해 긴급 회동하고, 통신재난이 초래할 사회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함께 힘을 모으기로 약속했다.
아현국사 화재는 5G(5세대 이동통신) 전파 발사를 불과 일주일 앞두고 발생해 충격이 더 컸다. 5G로 도래할 초연결 시대에 대한 기대감은 통신이 마비됐을 때 상상을 초월한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로 변했다. 이통3사는 바로 다음주로 예정됐던 5G 기자간담회를 줄줄이 취소하고 재난 대응책 마련을 위해 분주하게 움직였다.
KT 아현국사 화재 당시 피해 지역은 112 통신시스템을 포함해 모든 유·무선 통신망이 끊겼다. 아현국사 화재로 정부와 KT는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시설 관리의 중요성을 깨닫고,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방재 대책을 세우고 관련 조직을 신설했다.
KT는 피해를 입은 KT 유무선 가입 고객에게 1개월 요금을 감면하고 화재 피해가 컸던 동케이블 기반 인터넷 고객과 일반전화 고객에게는 각 2개월, 5개월의 요금을 감면하는 조치를 신속히 결정했다. 요금 감면 대상은 중복된 인원을 제외하고 약 79만6000명에 달했다.
KT는 소상공인을 위해 국회, 소상공인연합회, 시민단체 전문가 등과 'KT 화재 상생보상협의체'를 꾸렸다. 피해 지역 소상공인의 통신 서비스 장애복구 기간에 따라 40만원에서 120만원의 지원금을 보상하기로 합의했다. KT 측에 따르면 접수된 피해 1만3550건 중 99.2%에 달하는 1만3442건에 대한 지급을 끝냈다.
상생보상협의체를 주관한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와 정부, 기업, 소상공인이 대화와 타협으로 문제를 해결한 선례로 기억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KT는 정부의 통신재난방지 강화대책을 반영한 '통신재난 대응계획'도 만들었다. KT는 3년간 4800억원을 투자해 통신구 감시와 소방시설 보강, 통신국사 전송로 이원화, 수전시설 이원화, 통신주와 맨홀 개선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5월에는 인적 조직도 보강했다. 네트워크 부문 직속으로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총괄하는 '인프라운용혁신실'을 만들고 네트워크와 관련된 모든 과정을 인프라실로 통합시켰다. 대규모 긴급 통신 복구 훈련을 정기적으로 시행해 대처 능력도 강화했다. KT는 전국 통신주 464만개와 맨홀 79만개, 통신구 230개(286㎞) 등 외부 통신시설(OSP)에 대한 전수 조사도 진행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2월 '통신재난 방지와 통신망 안정성 강화 대책'을 발표하고 통신재난 때 타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화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모든 통신구는 소방시설을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했다. 통신시설 점검 주기도 축소해 대상을 D급 시설까지 확대했다. 2년에 한 번 점검을 받던 A~C 등급의 시설은 1년으로, 점검을 받지 않던 D급 시설은 2년 주기로 점검을 받게 됐다.
정부는 주요통신시설이 미치는 범위에 따라 등급을 분류했다. 구체적인 등급은 A급(수도권 등 광역권역), B급(광역시·도), C급(3개 이상 시·군·구), D급(단일 시·군·구)이며, A~C급은 정부가 직접 관리하고 D급은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관리한다. 아현국사는 D급 시설이었지만, 지난 화재 이후 아현국사를 비롯해 8곳이 C급으로 상향 조정됐다.
5G 서비스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기술과 결합해 새로운 ICT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 5G 시대 통신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면서 통신 재난의 심각성은 더욱 커졌다.
지난 9월 4일 KT는 대전 유성구 대덕연구단지에서 '통신기반 인프라 혁신기술'을 발표했다. 황창규 KT 회장은 이날 행사에서 "다시 한번 아현지사 화재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한다"며 "KT는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 네트워크 인프라 혁신과 연구·개발에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아현국사 화재로 유선인프라의 가치를 깊이 깨닫는 계기가 됐다"고도 했다.
KT는 이 자리에서 5G와 AI, 로봇을 활용한 외부통신시설(OSP) 관리 시스템 '아타카마(ATACAMA)'를 공개했다. 아타카마는 KT가 세운 통신재난 대응 계획의 결과물 중 하나다.
50억원을 투자해 개발한 아타카마는 기지국, 서버, 통신구, 맨홀 등 통신 인프라의 모든 과정을 통합 관리한다. 기존 기술로 100분이 걸리던 광케이블망 설계 작업은 아타카마를 사용하면 5분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 AI가 이원화 루트를 자동 설계해 네트워크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여준다. 네트워크망의 위치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돼 네트워크 장애 처리 시간도 줄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9월 19일, '2020년 통신재난관리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2020년까지 모든 주요 통신시설에 잠금장치와 CC(폐쇄회로)TV를 설치하고, 재난 대응인력 또는 감시시스템을 상시 운용체제로 구축한다. 전체 주요통신시설도 863개에서 897개까지 늘었다.
21일, KT 아현국사를 방문한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화재 발생 1년이 지나 통신 재난의 심각성을 알게 됐고, 경제적인 손실도 상당했다"며 "초연결사회에서 통신망 장애는 큰 혼란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어떤 환경에서도 끊김 없이 통신망이 작동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과기정통부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등 통신 4사와 통신재난 방지대책 추진현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통신 4사는 잠금장치 설치와 CCTV 보강을 올해까지 완료하고 통신망 이원화와 전력공급망 이원화는 2021년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통신사별로 보유하는 통신구, 관로, 광케이블 등 주요 통신설비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통합운용 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통신망 이원화는 통신사의 회선이 불능상태가 되면 다른 통신사의 회선으로 대체되는 개념이다.
전문가들은 KT와 정부 대처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도 재발 방지에 더욱 힘을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지하 통신구는 화재 감지를 빨리해도 일반 건물보다 진화가 어려워 근본적인 대처가 어렵다"며 "법으로 강제해서라도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불을 끄는 물분무소화설비나 공기압축포소화설비 같은 자동소방설비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동현 한성대 융복합교양교육학부 교수는 "통신 재난 시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만드는 게 시급하다"며 "아현 국사 화재는 통신망 두절과 소상공인의 영업에 지장을 준 게 커서 통신망 이원화로 사고가 났을 때 통신을 우회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황 교수는 "국회와 KT가 손해배상 규정을 넘어선 고객 보상을 진행한 것은 칭찬해 주고 싶다"며 "앞으로 이동통신 약관에 이번 사례를 명시해 또 이런 피해가 났을 때 분쟁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장애가 일어날 경우 자영업자와 이용자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담은 '통신장애 시 이용자 행동요령'을 공개했다.
갑작스러운 무선통신 두절 시 이용자는 먼저 휴대폰 자가 진단을 시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전원을 끄고 다시 켜보거나,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해야 한다. 유심 분리 후 재장착하는 등 단말기와 기지국 연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행동을 실시해 단말기나 유심카드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가입한 이동통신사 고객센터(114)에 통화 연결이 될 경우 고객센터를 통해 장애 여부를 확인해볼 수도 있다.
만약 유선 통신이 안된다면 초고속(유선) 인터넷과 IPTV 작동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인터넷 연결선 접속 여부를 확인하고, PC나 셋톱박스의 전원을 끄고 다시 켜봐야 한다. TV를 외부모드로 전환해 지상파TV가 정상 수신되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자가 진단 후에도 통신장애가 계속되면 주위에 다른 통신사를 이용하는 사람을 통해 통신장애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