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산하 소득주도성장위원회가 7일 1인 가구를 포함한 전체 가구 중 소득하위 20% 계층의 근로소득이 지난해 대비 증가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공개했다.
앞서 통계청은 지난 5월 23일 가구원 2인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바탕으로 1분위(소득하위 20% 계층)의 1분기 전체 가계소득은 지난해보다 2.5% 줄었으며 그중에서도 근로소득은 전년 대비 14.5% 감소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특위는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통계청 발표와 달리 1인 가구를 포함한 1분위의 1분기 근로소득은 전년 9만9000원에서 올해 10만7000원으로 7.7% 증가했다"면서 "1분위 근로소득은 2011년 이후 빠른 속도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고령층 무직가구의 증가 등이 원인이었다"고 분석했다. 이어 "올해는 이런 전반적 하락세 속에도 소득이 증가로 전환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위는 또한 1분위의 근로소득을 포함한 전체 소득의 경우에도, 1인 가구를 포함하면 지난해 65만2000원에서 올해 65만8000원으로 0.8% 늘었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인 이상 가구 조사에서는 1분위의 1분기 전체소득은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위는 이 같이 하위 20% 층의 근로소득과 전체소득이 늘어난 데에는 '근로소득이 있는 가구'의 비중이 지난해 23.8%에서 올해 27.6%로 증가한 것이 주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추진으로 소득분배가 악화하고 있다는 일부의 우려와 달리, 최저임금 인상과 노인·청년 등 취약계층 일자리 대책으로 저소득층의 근로소득이 증가로 전환했다. 소득분배가 개선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소득주도성장의 선순환 확산을 위해 정책기조를 유지하되, 임시일용직 근로자와 영세 자영업자 등 취약부문에 대한 지원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구체적으로는 시장 수용성을 고려한 최저임금 결정이 필요하다고 진단했으며, 근로장려세제 확대, 한국형 실업 부조 도입, 기초생활보장제도 개선 등 사회안전망 강화 및 수혜계층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