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역조건과 경제성장률의 방향성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교역조건이 좋아지더라도 경제 성장률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11일 한은 조사통계월보 5월호에 실린 '글로벌 충격이 교역조건과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는 세계 수요, 반도체 공급, 원유 공급 등 교역조건(순상품교역조건) 변화 배경에 따라 교역조건과 성장과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2018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세계 수요가 감소할 경우 수입가격이 수출가격보다 더 크게 떨어져 교역조건은 좋아진다고 봤다. 교역조건이 개선하면 경제도 성장한다는 통념과 반대로 움직인 셈이다.
다만,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 특성상 수출이 줄면 성장률은 둔화했다.
반도체 물량공급이 늘어날 경우 수출물가가 하락해 교역조건은 나빠진다. 그러나 반도체 수출이 늘어 경제 성장률은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원유 공급 축소로 국제유가가 상승해 교역조건이 나빠질 경우에는 통념대로 성장률이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가 오르면 생산비용이 상승하고 실질소득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조동애 조사국 과장은 "교역조건 개선 시 성장률이 상승한다고 판단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수 있다"며 "세계 수요, 원유 및 반도체 공급 등 근본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