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호의 그게 이렇지요] ​​​영화 ‘기생충’의 정치사회학

2019-06-09 10:19
  • 글자크기 설정

[이재호 초빙논설위원. 극동대교수 ]


영화 ‘기생충’은 부자를 악인(惡人)으로 정형화하지 않는다. IT사업에 성공해 부자가 된 윗동네의 박 사장과 그의 부인은 오히려 남에게 잘 속는 단순한 사람이다. 이런 장르의 영화에서 부자, 곧 힘 있는 사람들이 대체로 야비하고 교활하고 잔인한 인간으로 나오는 것과는 대비된다. 가진 자들은 하나같이 유착의 네트워크를 통해 부(富)의 성을 구축한다. 부자를 악인으로 설정하면 영화는 쉽고 명쾌해진다. 몇 개의 복선과 반전을 깔아놓아도 결국엔 권선징악(勸善懲惡)의 플롯대로 풀어 가면 되기 때문이다. ‘기생충’은 이 흔한 프레임을 거부한다.

악행은 오히려 아랫동네 반지하 방에 사는 가난한 김씨 집안의 식구들이 저지른다. 아들과 딸은 학력을 속여 박 사장 집 아이들의 영어·미술 과외교사가 되고, 아버지와 어머니는 운전기사와 가정부로 들어간다. 피자 포장박스를 접어 살아가던 가족이 박 사장 집에 기생(寄生)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생계문제를 일거에 해결한다. 이들이 기생충이라면 박 사장은 숙주다. 숙주와 기생충의 공존은 어디까지 가능할까. 봉준호 감독은 장인의 솜씨로 이 묵직한 주제를 한 편의 잘 만든 블랙코미디로 바꾸어놓았다. 현란한 영화적 장치들을 총동원해서.
영화의 전반부가 숙주와 기생충의 조우였다면, 후반부는 기생충들끼리의 갈등이다. 고단한 건 늘 기생충이다. 숙주의 자비에 깃들어 살면서도 혹여 다른 기생충이 내 자리를 넘볼까 봐 두렵기 때문이다. 김씨의 식구들은 쫓아낸 전 가정부의 남편이 4년이 넘도록 박 사장 집 지하에 숨어 살아왔다는 걸 알게 된다. 이미 다른 기생충이 살고 있었던 것이다. 두 기생충 가족은 충돌한다. 서로 숙주에게서 떨어지지 않으려고 발버둥치는 모습을 보면서 관객은 비참해진다. 한국사회의 갈등은 갑과 을의 갈등이면서, 또한 을과 을의 갈등임을 안다.

그렇다고 이 영화가 답을 주는 건 아니다. 아니, 답을 주기도 어렵다. 숙주와 기생충의 관계, 곧 한국사회에서 ‘가진 자’와 ‘못가진 자’의 불평등의 문제는 너무 미묘하고 복잡해서 답을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도 영화는 ‘한국판 양극화 보고서’쯤으로 읽힌다. 양극화를 상징하는 기제들로 차고 넘친다. ‘냄새’도 그중 하나다. 박 사장이 못 참는 건 김씨에게서 나는 ‘꿉꿉한 냄새’다. 김씨 딸의 표현을 빌리면 ‘반지하방 냄새’다. 그 냄새에 진저리치는 박 사장에게서 김씨는 심한 모멸감을 느끼게 되고 영화는 비극적 결말로 치닫는다.

영화는 현실의 반영일까. 영화에 대한 반응도 김씨 가족의 입장에 공감하는 쪽이 대세다. 한겨레 신문은 지난 6일자에 ‘화장실보다 낮은 반지하…영화가 부른 꿉꿉한 기억’이란 제하의 특집기사를 싣고 독자들의 반응을 모아서 소개했다. 그중 하나를 보자. “젊었을 때 몇 년 동안 반지하에 산 적이 있는데 그때 ‘기생충’을 봤으면 울었을 것 같다. 대단지 아파트 햇빛 잘 드는 층에 살고 있는 지금도 박 사장보다는 주인공 가족에 감정이입이 된다.” 그럴 만하다. 누구에게나 가난의 기억은 오래간다. 수도권에서만 35만 가구가 반지하주택에 살고 있다고 하니 아마 그중 대다수가 ‘기생충’을 보고서 가슴이 먹먹했을 것이다.

반지하방에 법(法)이 묻힌 걸까. 김씨 가족의 악행은 전혀 부각되지 않는다. 작당을 해서 거짓말로 부잣집에 위장취업을 했음에도 그들은 연민의 대상일 뿐이다. 그들의 범죄는 극 중 전개에 필요했던 일종의 설정에 불과했던 것처럼 비친다. 나부터 영화를 보면서 김씨 가족들이 한때의 죄를 딛고 반지하방에서 나오게 되는 전기(轉機)가 있을 걸로 생각하고 기다렸으니까. 영화 마지막 부분에서 박 사장을 살해한 김씨가 박 사장의 지하실로 숨어들어가 스스로 영어의 몸이 된 걸 두고도 “한 기생충이 다른 기생충을 대신할 뿐 한국사회에서 기생충은 영원히 숙주가 될 수 없다는 비극을 보여준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나는 김씨와 그 가족의 악행에 대한 응보(應報)의 의미도 있다고 믿는다.(김씨는 지하실에서 박 사장의 사진을 보며 “미안합니다”라고 말한다.) 김씨 역을 맡은 배우 송강호는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이 영화는 “타인에 대한 예의, 사람에 대한 존엄에 관한 얘기”라고 했다. 그 존엄이 몸에서 ‘냄새’가 난다고 타박받지 않을 존엄이라면, 어느 누구도 ‘냄새’ 때문에 목숨을 잃지 않을 생명의 존엄도 있다. 하긴, 이 영화는 법을 다루는 영화가 아니어서 이런 문제는 별로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는 듯하지만.

영화의 힘은 실로 대단하다. 한국사회의 불평등의 심각성을 이보다 더 강렬하고 효과적으로 의제화하기는 어렵다. ‘기생충’은 그런 점에서 성공한 영화다.

영화는 선명하나 현실에서의 해법은 흐리다. 불평등이 국가경제의 성장률을 갉아 먹고, 위화감을 키워 사회통합―국제적으론 평화와 안정―을 위태롭게 하는 만병의 근원임을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성장이 있어야 분배도 있다’는 주류경제학의 성장우선론도 옛날만큼 먹히지 않는다. 그렇다고 분배와 재분배(복지)만이 해법이라는 주장도 미덥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나 같은 문외한도 세금 더 걷지 않고 그게 가능하냐고 되물을 줄은 안다. 현금을 살포하자는 기본소득(UBI)도 이게 포퓰리즘과 어떻게 다른지 확신이 안 선다.

성장과 분배 사이에서, 또는 적게 먹고 덜 쓰며 작은 행복에서 삶의 가치를 찾는 정신과 종교의 영역에서까지 다수(인류)가 공감할 만한 해법이 모색돼야겠지만 아직까지 보수는 물론 진보조차도 그만한 상상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으로 진보가 문제 해결에 기여한 바가 없다는 비판도 있다.(‘정치학’, 앤드류 헤이우드, 2014년)

이 점에서 문재인 정부의 ‘포용정책’은 담대하다. 세상의 모든 불평등을 ‘포용’이라는 한 바구니에 담아 치유할 수 있다고 믿는다. 포용정책이 영화 ‘기생충’의 김씨 가족에게 윗동네로 올라갈 수 있는 튼튼한 사다리가 될 수 있을 것인가. 흔히 ‘불평등’에 대한 해답은 ‘평등’에 있지 않고, ‘정의로운 불평등’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고들 한다. 영화 ‘기생충’ 을 보면서 이 말을 몇 번이고 곱씹어봤다.


 

황금종려상 받은 '기생충' 개봉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은 영화 '기생충'이 개봉한 30일 서울 시내 한 영화관에 붙은 포스터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