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상선은 현재 한국해양진흥공사와 장비지원과 관련해 지원 방법·금액 등을 최종 협의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협의안에는 해진공이 자회사를 설립한 후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컨테이너박스 등을 직접 발주하는 내용 등이 담겨 있다. SPC는 해진공이 60%,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40%의 지분을 보유할 전망이다.
이번 물적 지원은 정부가 컨테이너박스를 직접 소유하고, 이를 현대상선에 임차(리스)하는 방식이다. 이는 현대상선의 선복량(적재량)이 100만TEU(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까지 불어나는 데 따른 선제적 조치다.
추가 컨테이너박스가 필요하지만, 현대상선은 자가 비중이 매우 낮다.
실제 현대상선 소유 컨테이너박스는 17만TEU로, 전체 보유량 80만6000TEU 대비 21%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모두 트라이톤(Triton), 비콘(Beacon), 플로렌스(Florens), 텍스테이너(Textainer), 시코(Seaco) 등 외국 리스사들과 리스계약을 체결해 빌린 것이다.
정부 입장에선 유형자산인 컨테이너박스를 지원해 국부 유출을 막고, 화물의 적시성을 높여 해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해진공은 현대상선이 최소 컨테이너박스를 80만TEU 이상 늘려야 자생력을 갖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1TEU당 가격이 약 2300달러인 점을 감안하면 총 1조8400억원을 지원하는 셈이다.
해진공 관계자는 "장비 자회사를 만들어 임차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은 맞지만, 구체적인 금액 및 수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면서 "협의안은 거의 마무리 단계로 빠른 시일 내에 발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상선 관계자 역시 "정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다만 정부의 해운재건 정책에 맞춰 경쟁력을 높이는데 전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