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회를 주관한 4개 학술단체는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전국국공립대학교인문대학장협의회, 전국사립대학교인문대학장협의회, 전국국공립대학교사회과학대학장협의회 등이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축사에서 “인문사회 학문이야말로 혁신적 포용국가의 핵심”이라며 “인문사회분야 학술생태계를 활발하게 하기 위해 학문후속세대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 부총리는 “특히 대학에 소속두지 않은 연구자를 지원할 수 있도록 추경 반영에 노력할 것”이라며 “김대중 정부 이후 최초로 학술전담기구를 설립해 학술정책에 큰 그림을 그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오세정 서울대 총장도 축사에서 “기초학문이 중요하다는 데 누구나 공감하지만 이익을 만들어내지 않는 학문을 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라고 반문하며 “비전임학자들을 위한 ‘국가학술교수’를 만드는 것은 지금도 시점에서 매우 적절하다”고 말했다.
인문사회 학술생태계 활성화 추진 과제로 그는 △인문사회분야 연구지원 강화 및 사회진출 경로 다양화 △과기부와의 협업 통한 융합연구 확대 △생활 인문프로그램 확대 등을 꼽았다.
윤 과장은 “현재 3개 분야 10개 중과제에 대해 2019년 2300억원 수준인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며 “학계가 중심이 돼 학문 전 분야를 아우르는 학술 중장기 비전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박구용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장은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제도 정착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발표했다.
박 본부장은 “학문들 사이의 장벽이 높아지고 분리되면서 학문세계가 국가행정과 자본시장으로부터 내적 식민지화되고 있다”며 “학술지는 많아졌고 실적은 늘어가지만 학술담론은 사라지고 있어 머지않아 국민의 기본권이 침해될 정도로 학문이 붕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국가의 미래를 책임지는 학자의 삶은 국가가 책임져야 하며 학문정책도 학자들이 구성해야 한다”며 “프랑스의 CNRS처럼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는 새로운 직군으로 구성해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보장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이강재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교수는 ‘새로운 학술전담기구는 꼭 필요한가’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 교수는 “과학계에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나 국가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지속적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평가하지만, 인문사회 분야는 중장기적 차원에서 학술정책을 수립할 전담기구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부총리 직속 학술위원회와 학술국가 차원의 학술진흥 및 기초연구력 증진을 위한 정책 조사·분석·평가·기획 업무를 수행하고 비전임 연구인력에 대한 지원도 해야 할 것”이라며 “한국연구재단은 연구비수탁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