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교체주기 2년' 공식 깨지나...혁신 부진에 사용기간 늘었다

2019-04-16 19:00
  • 글자크기 설정
'스마트폰 사용 기간은 2년'이라는 공식이 깨지고 있다. 단말기 내구성이 강해졌고 기술 혁신 속도가 줄며 교체주기가 길어지고 있다.

16일 스위스 금융기업 UBS의 조사 결과 향후 12개월 동안 스마트폰을 교체할 계획이 있다는 응답이 41%에 그쳤다. 이는 조사 이래 역대 최저 수치다.

애플 단말기 사용자들의 교체주기도 늘었다. 이들은 평균 2년 7개월 정도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전(24~25개월)보다 8~9개월 사용기간이 더 길어졌다. 이처럼 스마트폰 교체 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디바이스의 수명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폰 교체 이유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파손과 배터리 사용 시간 감소는 기술 진보로 많이 해소된 상황"이라며 "내구성이 강해지며 실수요자들의 단말기 교체가 줄어든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기술의 상향 평준화도 한 요인이다. 후발주자인 화웨이, 샤오미, 오포, 비보 등 중국업체들이 가격 대비 높은 성능(가성비)을 내세워 애플·삼성전자 등을 빠른 시간 내에 추격하며 차별성이 사라졌다.

바꿔 말하면 스마트폰 단말기의 혁신이 둔화됐다는 뜻이기도 하다. 스마트폰의 기술 혁신은 2010년대 초반에 급격히 진행됐다. 화면 크기가 커지고 화면 해상도는 높아졌다. 배터리 수명은 점점 늘어나고 카메라 성능과 프로세서 속도는 매년 향상됐다.

하지만 2014~2015년부터는 이렇다 할 기술 혁신이 줄면서 제조사들이 새로 출시한 디바이스를 구매하기 위해 기꺼이 비용을 지불하는 소비자들이 줄었다. 

 

[사진=아이클릭아트 제공]

애플은 스마트폰 수요 둔화를 타개하기 위해 가격 인상 정책을 폈다. '아이폰X'를 시작으로 평균 판매 가격을 대폭 인상했다. 이 같은 프리미엄 전략은 스마트폰 판매 감소로 이어졌고 결론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제조사 입장에서는 단말기 교체주기가 길어지는 게 반가울 리 없다. 그만큼 수익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이 둔화된 것도 부담이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총 14억대로 전년 대비 4.1% 줄었다. 2년 연속 감소다.

이처럼 스마트폰 수요가 줄어든 것은 중국 경제 둔화 때문이다. 중국은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은 물량 기준으로 10% 이상 수요가 줄었다.

제조사들은 5G(5세대 이동통신)과 새로운 폼팩터(제품 형태)가 정체된 스마트폰 시장을 다시 활성화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앞서 고동진 삼성전자 IM부문장(사장)이 "3년 내에 5G와 인공지능(AI)이 스마트폰 르네상스를 일으킬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자유자재로 접었다 펴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같은 새로운 폼팩터 역시 소비자들의 수요를 자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제조사 관계자는 "10년 가까이 스마트폰이 세로 모양의 바 형태로 고착화됐는데 전혀 다른 형태의 다양한 스마트폰이 출시되면 업계에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