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종원 한국교통연구원 동북아북한교통연구센터장은 2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아주경제신문의 '2019 상반기 부동산정책포럼'(주제: 남북 경협 확대에 따른 건설산업 진로와 과제)에서 이같이 말했다.
서 센터장은 “북한 교통인프라 현대화 전략을 세울 때 거점 혹은 지방부터 사업을 진행할지 등 다각적인 고려가 필요하다”며 “전면적 개발은 재원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략을 잘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 센터장은 “중국은 대북제재의 눈을 피해서 북한과 여러 사업 계약을 맺었다”며 “황금알 사업은 다 뺏기고 도로나 철도만 놔주는 상황이 될 수 있어, 사업 시기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도로·철도와 함께 건설부문도 같이 검토해서 연구를 하면 남북경협사업을 제안할 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 센터장은 “북한 철도의 영업㎞가 5000㎞가 넘는 점을 감안하면, 철도가 북한 전역을 연결한다고 볼 수 있다”며 “경협 초반에는 철도가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또 “철도망을 건설할 때 북한의 경제특구를 경유토록 하는 고민이 필요하다”며 “추진은 거의 안 됐으나 지난 2011년 대대적으로 발표한 국토개발안에 담긴 내용을 감안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원산은 동해관광특구와 연결시켜 우리나라 강원도와 함께 하는 공동 관광특구로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제안했다.
그는 남북경협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대북제재를 꼽았다. 서 센터장은 “대북제재가 소폭 완화되면 마스터플랜을 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면서도 "북한은 세계에서 자존심이 가장 센 나라여서 우리가 마련한 마스터플랜을 수용하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마스터플랜을 세울 때 북한 당국의 수용성과 함께 북한의 경제개발계획 등을 검토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또 "남남갈등을 타개하기 위해서도 남북경협사업을 통해 창출한 일자리가 남측 청년에게 돌아갈지 등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재원조달과 관련해서 “철도사업은 수십조원에 달하는 비용이 드는 만큼 해외조달이나 PPP(민관합작투자사업)를 통해 재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통행료나 운임을 검토해야 하는데 아직 수요가 많지 않다. 앞으로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는 방안이 점점 중요해질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