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이 "(한국은) 여전히 서비스업(66.5%), 단순노무직(50.6%) 종사자 중 여성비율이 높고 관리직(11.9%)과 과학기술계(20.1%) 여성비율이 낮은 '직종분리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진 장관은 11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63차 유엔여성지위위원회'(CSW)에 정부 수석대표로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지난 11일부터 2주간 열리는 이번 63차 회의는 '성평등 및 여성·여아의 역량강화를 위한 사회보장체계, 공공서비스 및 지속가능한 인프라 접근'을 주제로 진행된다.
진 장관은 이날 오후 열린 장관급 원탁회의에서 '여성리더십 제고'를 주제로 발표를 맡았다. 한국의 여성고용상황과 관련 정책을 소개했다.
진 장관은 "한국은 여성 경제활동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여성고용상황이 개선되고 있다"면서도 "고위직에서 여성비율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 6월 기준 국가직 과장급 여성 공무원 비율은 전체의 16.4%, 공공기관 여성 관리자 비율은 21.6%에 불과하다면서 "민간부문도 마찬가지"라며 "지난해 11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발표를 보면 매출액 기준 500대 기업의 임원 가운데 여성 비율은 3%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진 장관은 우선 공공부문에서 여성대표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 정책 성과를 소개했다. 국가와 지방자치 단체가 정부위원회를 구성할 때 특정성별이 60%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법정기준을 마련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해당 정책을 시행한 결과 정부위원회 여성 비율은 2013년 27.7%에서 지난해 41.9%로 증가했다. 또한 공무원·공공기관·군경찰 등에 대해서도 여성 관리자 비율 목표를 설정하고 지원한 결과, 4급 이상 여성 공무원 비율은 2013년 9.9%에서 2017년 14.8%로, 공공기관 여성 관리자 비율은 2013년 13%에서 2017년 18.8%로 40%이상 크게 늘었다.
진 장관은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에 공공기관 양성평등 임원 목표제 추진에 대한 법적 기준을 지난해 최초로 마련했다"며 "임원의 여성 비율이 임원 정수의 20%이상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민간부문의 여성 대표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도 소개했다.
진 장관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 고위직 비율을 확대해 나가도록 기업과 '자율 협약'을 체결하는 등 (한국은) 올해부터 민간부문의 여성 대표성 제고를 위해서도 노력할 예정"이라고 힘줘 말했다.
여가부는 올해 경제단체들과의 민관 협력을 통해 기업이 여성 고위직 비율을 높이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 자리에서 진 장관은 "여성의 낮은 대표성과 직종분리 현상이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 현상과 연관돼 있음을 인식하고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통해 맞춤형 상담, 직업훈련 등의 특화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 여성인재데이터베이스 구축 △ 청년여성 멘토링 △ 여성인재아카데미 운영 △ 여성과학기술인 양성 정책 등 정부가 분야별·경력단계별 역량교육을 지원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진 장관은 "한국 정부는 앞으로도 민간과의 거버넌스를 강화해 모든 분야에서 여성들의 대표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