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미국과 북한이 자국 연락 담당관의 상호 왕래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북·미 양측이 이번주 실무 협상을 통해 합의문 초안 작성에 돌입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나온 얘기다.
CNN은 북·미가 연락 담당관을 교환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실상 '연락 사무소' 설치 작업을 재개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세부 논의까지 진행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2차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지이자 미국이 제시하는 북한의 경제 발전 모델로 꼽히는 베트남도 미국의 경제 제재 해제, 미국과의 국교 정상화에 앞서 연락 사무소 설치라는 중간 단계를 거쳤다. 북·미 간 연락 사무소 설치 논의에 긍정적인 기대감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이번 관측은 이번주 예정돼 있는 실무 협상을 앞두고 나온 것이어서 더 주목된다. 북·미 간 연락 사무소 개설은 북한의 비핵화 노력에 대한 미국의 상응조치 중 하나로, 70년간 이어져온 북·미 적대관계를 종식하고 새로운 관계 개선의 발판을 마련하는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북·미가 연락 사무소 개설에 완전히 합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이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 미국이 확신하지 못한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는 탓이다. 때문에 이달 말 예정돼 있는 제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어떤 합의를 도출하느냐에 따라 북·미 관계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북·미 정상회담의 밑그림을 그리게 될 실무 협상은 낮은 단계의 '실무급 협상'에서 '특별대표 간 회담'으로 확대하는 방식의 2단계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2차 북·미 회담 준비가 의전 등의 로지스틱스(실행계획)와 의제 등 투트랙으로 진행되는 만큼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외신 등을 종합하면 일단 19일(베트남 현지시간) 1차 협상에서는 알렉스 웡 미 국무부 부차관보와 박철 북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평화위) 부위원장이 회담 의제를 사전 조율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후 빠르면 22일께 스티븐 비건 미국 측 특별대표와 김혁철 북한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간 실무회담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1차 협상팀과 2차 협상팀이 별도로 협상을 진행하는 건지, 특별대표급 실무회담이 가동되는 동안 1차 협상팀이 동시에 참여하는 건지는 아직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김혁철 대표와 최강일 외무성 북아메리카 국장 직무대행, 김성혜 통일전선부 통일책략실장은 이날 평양에서 출발해 경유지인 베이징에 도착했다.
비핵화·상응조치는 이번 2차 회담의 성공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는 핵심 키워드로 주목받고 있다. 결국 연락 사무소 논의를 기초로 한 상태에서 북한의 영변 핵시설 폐기와 플러스 알파(+α), 그리고 이에 대한 미국의 상응조치를 어떻게 조율하느냐가 이번 회담의 성공을 가르는 최대 관건이라고 BBC 등 외신들은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