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고로 유명세를 탄 인공지능(AI) 역할이 점차 확대되자 신약개발에도 이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다수 AI관련 전문가는 향후 신약개발에 있어 인공지능 활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15일 IBM 등 국내외 선도적인 AI솔루션 개발사 9곳을 초청해 ‘AI 파마(Pharma) 코리아 컨퍼런스 2018’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신약 후보물질 발굴부터 개발까지 폭넓게 활용되는 인공지능 사례 등에 대한 제약산업계 새로운 흐름을 논의했다.
송상옥 스탠다임 최고혁신책임자는 “세계적인 트랜드를 보더라도 AI가 제약업계에 얼마만큼 파장을 미칠지는 예측이 가능하다”며 “제약바이오 데이터는 사람의 정보로 이뤄지는데, 여기서 불필요한 것들을 거르고 분류하는 작업을 AI가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작업은 하나의 회사가 다 감당할 수 없으며, 제약사와 AI관련 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성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때문에 제약계는 새로운 분야를 받아들이는 자세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마이클 제뉴지크 뉴메디 바이오의학 정보학 사업책임자는 신약개발에 AI를 이용하면, 실패율과 연구비용을 줄일 수 있어 효율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개발기간과 비용을 1/10 수준으로까지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매우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장비 역시 맥북프로와 클라우드만을 이용해도 무방하기 때문에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또 “신약개발은 잠재고객이 있는 시장성 있는 약물에 대해서만 집중되고 있지만, 희귀질환 등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며 “그러나 투자비 회수 등의 이유로 신약개발이 어려운 상황인데, 여기서 AI가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건잔바르 이노플렉서스 박사는 “다국적 컨설팅전문회사 맥킨지 연구에 따르면, 2020년에는 AI가 의료보건과 생명공학에 미치는 영향이 1조달러(1130조원)”라며 “AI활용을 위한 플랫폼과 접근방식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접근에 있어서는 데이터 공유를 중요 요소로 꼽았다. 한 제약사가 어떤 실험에 실패한 사례가 있다면, 다른 제약사가 똑같은 실패를 경험하지 않도록 데이터를 함께 공유해 성공률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와 학계, 산업계가 블록체인 등의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공유하는 방안을 찾고,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을 시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양현진 신테카바이오 박사는 AI가 사람이 가진 선입견으로 인해 보지 못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해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다고 말했다. 앤드류 라딘 투엑스알 공동설립자는 인공지능과 같은 혁명을 산업에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기업은 도태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한편, 제약계는 미래 신성장 동력은 신약개발에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위한 R&D(연구개발) 비용을 늘리는 추세다. 대형제약사의 경우 연간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하는 등 신약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