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BTS 출연한 한불우정콘서트 관람

2018-10-15 01:26
  • 글자크기 설정

프랑스 정·재계, 문화예술계 인사 등 한자리에…한불 우호 다짐

프랑스를 국빈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4일 오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트레지엄 아트 극장에서 열린 '한-불 우정의 콘서트'를 관람한 뒤 무대에 올라 방탄소년단 등 출연자들과 함께 관객에게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프랑스를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각) 부인 김정숙 여사와 파리 트레지엄 아트 극장에서 열린 한·프랑스 문화교류 행사인 '한국 음악의 울림-한불 우정의 콘서트'에 참석했다.
콘서트는 문 대통령의 프랑스 방문을 계기로 양국 문화교류를 활성화하고 한국과 프랑스 간 우호적 분위기 조성을 위해 마련됐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특히 이번 콘서트에 방탄소년단(BTS)의 출연이 결정되면서 문 대통령의 관람도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콘서트에는 프랑스 현지의 정·재계 주요 인사와 문화예술계 인사, 한류 애호가, 파리 7개 대학의 한국학과 학생 등 400여 명이 함께했다.

콘서트는 국립국악원의 전통공연으로 시작됐다.

거문고·색소폰·드럼·판소리 등을 함께하는 한국 전통 퓨전 음악팀인 '블랙스트링'과 거문고·기타로 공연하는 그룹 '문고고'는 인기 드라마인 '태양의 후예', '김비서가 왜 그럴까' 등의 OST를 공연했다.

글로벌 스타로 떠오른 방탄소년단은 현지 팬들의 열띤 환호를 받았다.

문 대통령은 미소를 띤 채 각 공연이 끝날 때마다 박수로 화답했다.

뒤이어 거문고와 색소폰, 드럼 등을 함께하는 한국 전통 퓨전 음악팀인 '블랙스트링'이 '아리랑' 등을 연주했고 거문고·기타로 공연하는 그룹 '문고고'는 '프레베르의 노래' 등을 연주했다.

'문고고'는 한국의 거문고 명인 이정주와 프랑스 인디음악 대표그룹 'The Little Rabbit'에서 활동한 페데리코 펠레그리니가 구성한 한불 연합 그룹이다.
 

14일 오후 프랑스 파리 트레지엄 아트 극장에서 열린 '한-불 우정의 콘서트'에서 방탄소년단이 공연을 펼치고 있다. 이날 공연은 프랑스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도 관람했다. [사진=연합뉴스]



드라마 '태양의 후예', '김비서가 왜그럴까' 등의 OST 공연까지 마치자 "K팝의 기록을 다시 써 내려가는 BTS의 무대입니다"라는 사회자의 멘트와 함께 공연장의 분위기는 한껏 달아올랐다.

BTS가 'DNA'를 공연하자 대부분 관객이 환호하며 스마트폰 촬영을 시작한 가운데 김 여사도 환호성을 보내고 공연을 즐겼다.

문 대통령 역시 공연에 더욱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DNA' 공연이 끝난 뒤 BTS의 리더 RM이 프랑스말로 인사하자 다시 한번 환호성이 터졌다.

RM이 "파리에서 양국 귀빈을 모시고 뜻깊은 행사에 참석할 수 있게 돼 영광"이라고 인사한 뒤 'IDOL' 공연을 시작하자 프랑스측 초청 인사들도 스마트폰을 꺼내 이를 촬영했다. 이때 문 대통령의 미소도 더욱 커졌다.

문 대통령의 오른편에 앉아있던 프랑스 체육부 장관은 엄지손가락을 들어 환호하기도 했다.

BTS의 공연이 끝나자 모든 아티스트들이 무대로 나와 인사했고 문 대통령이 이들에게 다가가 일일이 악수했다.

문 대통령 내외는 특히 뷔와 정국을 포옹하며 격려했고 일부 멤버들은 고개를 숙여 대통령 내외에게 인사했다.

문 대통령은 프랑스 측 귀빈 및 공연자들과 소극장으로 이동해 별도로 환담을 하기도 했다.

그 사이에 공연장 바깥에서 대기 중인 현지의 팬들은 100명 이상으로 늘어 있었다.

청와대는 이번 콘서트와 관련해 "K팝을 접한 프랑스 젊은이들이 순차적으로 영화나 한식, 전통문화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아 프랑스 내에서 한국문화 저변 확대에 기여하는 대표적인 한류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과 프랑스는 수교 130주년을 계기로 2015년 9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추진한 '2015∼2016 한불 상호 교류의 해'를 통해 다양한 문화교류 사업을 진행했다.

프랑스 내 한류는 2000년대 초반 영화를 중심으로 시작돼 최근에는 K팝, 드라마, 만화, 게임, 전통문화 등으로 확산됐고 특히 2008년 이후 K팝 관련 콘텐츠의 수요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