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그룹 계열사 CJ ENM과 한 블루투스 중소기업이 거래 계약을 두고 ‘갑(甲)질’ 공방을 벌이고 있다.
CJ ENM과 모비프렌은 2016년 8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약 98억6000만원 규모의 최소 구매 금액을 보장하는 상품거래계약을 체결했다.
모비프렌은 CJ ENM이 계약을 충실하게 이행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허주원 모비프렌 대표는 지난 4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CJ의 중소기업에 대한 갑질은 여전히 자행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을 무시하는 CJ의 갑질 문화를 고발합니다’ 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허주원 대표는 ‘CJ ENM이 제대로 계약을 이행하지 않아 은행대출로 회사를 유지하고 있으며 오는 12월 계약만료일이 도래하면 도산할 상황’이며 ‘독점총판 계약으로 기존 거래처를 모두 정리해 유통망이 완전히 붕괴된 상태로 단 기간 내 회생이 불가능한 지경’이라고 주장했다.
모비프렌에 따르면 2015년 말 재고 자산 총액이 1억9800만원에서 CJ와의 계약 이후인 2016년 말에 8억 1800만원으로 7억원 가량 재고가 증가했다. CJ가 2016년 계약 이후 2017년 5월까지 계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과다 재고가 발생한 것이 주원인이라는 설명이다.
허 대표는 문제 해결을 위해 CJ 담당자는 물론 그룹 총수인 이재현 회장에게까지 거듭 호소문을 보냈으나 CJ가 무대응으로 일관했다고 강조했다. 최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청원 글을 올린 후에야 CJ 측이 “국내 블루투스 이어폰 시장이 당초 분석과 달리 성장이 미진했으며 음악 사업부를 철수하는 게 옳다고 판단해 더 이상 사업 진행이 어렵게 됐다”는 입장을 보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CJ ENM은 ‘중소기업의 역갑질이다’라며 정면 반박했다.
모비프렌의 도산 위기 주장에 대해 “모비프렌은 당사와 계약 체결 이후인 2017년, 과거 5년 중 가장 높은 매출액인 85억원을 기록했다. 영업 이익도 전년 대비 2.9배 이상 상승했다. 부채비율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유통망 붕괴 주장에 대해서는 “지난 8월 말 기준 150곳의 판매 점포수를 확보했고 지속적인 유통망 추가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마케팅 미비 문제에 대해서도 “계약상 마케팅에 대한 의무는 없지만 상생차원에서 2016년 12월 온라인 마케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4억원 규모 이상의 홍보, 마케팅을 했다. 추가 예산으로 아이돌 그룹 에디션 제품 생산과 드라마 간접광고 등도 했다”고 강조했다.
CJ ENM 측은 “모비프렌과의 거래로 인해 올해 연말까지 영업손실 30억원, 재고로 인한 손실 75억원 등 총 100억원 이상의 적자가 예상되는 상황이라 12월 만료되는 계약 연장이 불가능하다”면서도 “모비프렌이 직접 영업을 원하는 거래처에 대해서도 당사 독점판매권을 지난 2월 모두 양도했으며, 올해 12월까지 상품거래계약을 성실히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비프렌은 CJ ENM이 내놓은 ‘중소기업의 역갑질’ 주장을 재반박하고, 허위사실 유포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법적 대응을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