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분야 창업에 꿈이 있다면, 준비할 때부터 사업이 안정기에 접어드는 시기까지 ‘패키지 정착지원’을 받을 수 있다. 매월 최대 100만원의 정착금은 물론, 농지부터 기술지원까지 받을 수 있다.
특히 벤처 창업붐 조성을 위한 창업보육과 벤처투자 지원 등은 더욱 탄탄해질 전망이어서 ‘청년창업의 꿈’을 실현하는 데 가장 적합한 곳으로 농촌이 주목받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 청년 창업농 종합 지원체계 구축 예산을 1조2949억원으로 편성했다. 올해보다 2441억원, 23.2% 증액했다.
영농창업 지원 위주에서 청년의 농업‧농촌 유입과 이들이 안정적으로 일자리를 확보‧정착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집중하기 위해서다.
농식품부는 청년이 농업‧농촌에 유입될 수 있도록, 농업분야 취‧창업 희망 대학생을 대상으로 농업 분야 종사 조건 장학금을 신설해 후계농 유입을 촉진시킨다는 방침이다.
학기당 800명을 선발하고, 대학 등록금 전액과 학업장려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의무 종사기간은 장학금 수혜 학기 수마다 6개월이다. 이 기간 의무 영농교육과 실습을 이행해야 한다.
특히 내년에는 영농정착지원 대상을 대폭 확대한다. 올해 지원대상 1200명(추경 포함 1600명)에 더해 내년에는 2000명을 신규로 선발, 자금‧농지‧기술지원으로 창업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대상은 영농경력‧소득 요건을 만족하는 만 40세 미만 청년이다. 이들이 지원대상에 선정되면 월 최대 1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청년이 농업‧농촌에서 창업을 한다면, 자금‧농지‧기술 등 전 과정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됐다.
내년에는 후계농 육성자금이 올해(2400억원)보다 1050억원(3450억원) 확대돼 창업자금을 저리(1~2%)로 지원받을 수 있다.
또 농지 매입비축을 확대, 저렴한 임대농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농지 매입비축은 올해 1270ha에서 내년 1720ha로 늘어나고, 관련 예산도 3883억원에서 4649억원으로 증가했다. 축산농가의 경우 후계농 축사임대를 지원받을 수 있다.
기술지원을 위해 경영실습 임대농장을 확대(30곳 추가)하고, 농업 경영체 전문 교육지원도 늘려 역량강화를 뒷받침한다.
◆농식품 특화 스타트업 집중 뒷받침…‘벤처 창업붐’ 조성한다
농식품부는 농식품 특화 스타트업 지원으로 벤처 창업붐을 조성하기 위해 벤처창업 종합지원체계를 더욱 탄탄하게 마련했다.
내년에는 창업 준비기부터 초기(0~5년)와 성장기(5~7년)에 걸쳐, 원스톱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농식품벤처창업센터 2곳이 추가된다.
창업보육은 100곳에서 250곳으로 2.5배 늘어난다. 창업보육을 통해 ‘준비기-초기’에 제품기획이나 법인설립‧시제품 제작을 도움받을 수 있고, 성장기까지 상품화‧인증‧경영컨설팅을 해준다.
창업 직후부터는 농식품 크라우드펀딩으로 투자받을 수 있다. 벤처창업R&D바우처와 붐붐마켓‧민간유통지원‧해외수출지원 등 기술과 판로개척 지원체계도 구축됐다.
영농 취‧창업을 희망하는 청년은 선도 농업법인에서 인턴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인턴 수료자는 정규직 전환을 지원한다. 또 최고경영자(CEO)‧회계사 등 농업법인 전문인력 채용지원을 통해 농식품 기업 경쟁력 제고와 일자리 창출을 확대한다.
청년이 농촌에 정착하기 위해 생활여건이나 주거환경이 중요한 만큼, 청년이 살기 좋은 공간으로 농촌을 만들어가는 사업도 추진한다.
농식품부는 농촌 유휴자원을 청년의 일터로 조성해 새로운 창업 모델을 확산하고, 청년이 살기 편한 주거공간을 조성해 농촌 정착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창업공간은 양곡창고 등 유휴시설 30곳을 리모델링해 청년 등에 창업 공간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실제 순천 청춘창고는 유휴 양곡창고를 리모델링했다. 식음료와 공방 창업 청년에게 제공된 이후 40만명이 넘는 방문객이 찾아 20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달성했다.
주거단지는 육아 나눔시설과 문화‧여가 커뮤니티 시설이 갖춰진 주거단지 4곳을 조성한다. 또 귀농귀촌 신혼부부와 40세 미만의 청년 가정에 저렴하게 장기(5년 이상) 임대해줄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식품분야 청년유입 촉진을 위해 취‧창업과 정착 단계별 종합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청년의 보금자리가 있는 농촌을 조성하겠다”며 “차질없는 사업추진이 가능하도록 지자체와 현장농업인 등과 소통하고, 사업계획 수립 등 사전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