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형 집행을 미루다
1932년 9월 2일 당시 상해 주재 총영사 이시이 이타로(石射猪太郞)는 “오늘도 김구 체포를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윤봉길의 사형 집행 및 본토 압송에 찬성하기 어렵다. 지금 본토로 이송해 사형을 집행한다면, 오늘날까지 집행을 연기해 온 목적을 잃는 것이다”라고 우치다 고사이(內田康哉) 외무대신에게 보고했다.
일제는 배후에서 거사를 도운 김구를 유인해 체포하기 위하여, 윤봉길 의사의 사형 집행을 미루고 상해 헌병대본부 감옥에 구금(拘禁)해 두었다. 대역 죄인으로 규정된 윤봉길 의사는 가족 면회는 물론 편지도 금지된 채 그곳에서 가을을 보냈다.
김구는 쉽사리 잡히지 않았다. 결국 일제는 그해 11월 18일, 삼엄한 경비 아래 윤봉길 의사를 일본 우편수송선인 다이요마루(大洋丸)에 태워 본토로 압송했다. 상해 황포강 황포탄(黃浦灘)부두를 떠난 배는 20일 오후 2시 40분 고베(神戶)항 밖에 있는 와다곶(和田岬)에 도착했다.
11월 하순 쌀쌀한 날씨임에도 윤봉길 의사는 의거 당시 입었던 여름 메리야스에 다색(茶色)의 양복, 스프링코트를 걸치고 회색 중절모자를 눌러쓰고 있었다. 추위에도 아랑곳 않고 침묵으로 일관해 오던 윤봉길 의사. 멀리 사진기자들이 보이자 그때 비로소 그는 “사진기자들이 사진을 찍지 못하도록 해주시오.” 호송책임자 스기야마(杉山) 조장에게 단호하게 요구했다. 수갑을 찬 자신의 초라한 모습을 우리 민족에게 보이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일제는 취재진을 피해 윤 의사를 쾌속정 마야마루(摩耶丸)로 갈아 태우고, 미쓰비시조선소 독(dock)으로 들어갔다. 이곳에 미리 대기시켜 놓은 자동차에 그를 태운 후,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축성한 오사카성 내에 있는 육군제4사단사령부 직할 육군위수형무소 독방에 구금했다. 당시 일제는 윤봉길 의사에 대한 소식이 알려지면, 조선과 중국의 독립운동가들을 자극 또 다른 독립운동을 불러올 것을 우려해 극도로 언론 노출을 피하며, 모든 것을 극비리에 진행했다.
사형장 압송, ‘007작전’ 방불해
일본 오사카 육군위수형무소로 압송된 지 한 달 쯤 된 1932년 12월 18일. 갑자기 간수로부터 이감을 통고받은 윤봉길 의사는 연노랑 죄수복을 양복으로 갈아입고 오사카를 떠났다. 이때 그는 사형 집행이 가까이 왔음을 직감, 태연자약 의연함을 잃지 않았으나 만감(萬感)이 교차했다. ‘이 한몸이 죽어서 조국광복의 꽃을 피우는 밑거름이 된다면 그 이상 기쁠 것이 어디 있겠는가.…다만, 나 때문에 고초를 겪게 될 가족과 동지들이 안쓰러울 뿐이다. 그렇지만 그들 모두가 이 윤봉길의 죽음을 떳떳한 자랑으로 간직해 줄 것이므로 나는 아무런 여한 없이 이슬처럼 사라져야겠다.…’
그의 직감은 들어맞았다. 사형 집행이 예정된 가나자와로 출발한 시각은 오전 6시 25분. 차디찬 겨울바람을 맞으며 오사카 헌병대 소속 사복헌병 4명의 감시 하에 윤 의사는 기차에 올랐다. 승객 그 누구도 상해 폭탄 사건의 주인공이 같은 열차에 타고 있다는 사실을 까맣게 몰랐기에 열차 안은 평온해 보였지만, 사형장으로 향하는 여정은 순탄치 않았다.
육군대신 아라키 사다오(荒木貞夫)는 ‘윤봉길의 호송 도착과 사형 집행은 극비로 할 것…(중략)…신문기자 등의 탐색과 기타 대중 눈에 띄지 않게…’라는 내용의 극비문서를 제9사단장에게 하달했다. 이에 사단 검찰관 네모토 소타로(根本莊太郞)는 혹시 있을지도 모를 추적자들을 따돌리기 위해 ‘007작전’을 방불케 하는 비밀압송작전을 실행했다.
네모토 소타로는 가나자와 전(前) 역인 마쓰토역(松任驛)에 제9사단 소속 헌병을 비밀리에 보내, 윤봉길 의사를 압송하는 오사카 헌병에게 당초 하차역으로 정해졌던 가나자와역(金澤驛)을 그대로 통과해 그 다음 역인 모리모토역(森本驛)에 하차할 것을 지시했다. 오후 4시 35분에 모리모토역에 하차, 미리 대기시킨 자동차에 윤 의사를 태워 오후 5시 5분 가나자와 육군 위수구금소로 압송했다. 주위의 눈을 피하기 위해 한 정거장을 지나쳤다 돌아온 것이다.
의거 현장인 상해에서부터 사형 집행지 가나자와까지 호송하는 동안, 일본군이 보인 과도한 보안조치와 경계 태세는 그들이 윤봉길 의사를 얼마나 두려워했는지를 보여 준다.
일제의 비열한 속셈
일제가 윤봉길 의사의 사형 집행지로 가나자와(金澤)를 선택한 것은 고도(高度)의 비열한 속셈이 담겨 있다. 오사카 육군위수형무소 인근에도 육군죠단사격장(陸軍城南射擊場)이 있는데, 일제는 굳이 가나자와로 윤봉길 의사를 이송해 사형 집행을 했던 것이다. 한마디로 일본군의 철저한 복수심에 따른 보복이었다. 즉, 상해의거로 사망한 시라카와 대장이 일본 육군 제9사단장 출신이었다. 또한 9사단장 우에다중장 역시 상해의거 때 중상을 입었다. 9사단은 상해파견군의 주력부대로 침략의 선봉부대였다. 이에 일제는 보복 차원에서, 9사단의 주둔지인 가나자와로 윤 의사를 압송한 것이다.
일제는 윤봉길 의사의 사형 집행 시간마저 시라카와 대장이 (상해에서) 사망한 오전 6시 25분에 맞출 정도로 비열했다. 윤 의사의 사형 집행 시간은 오전 7시 27분이었다. 상해가 일본보다 1시간 빠르다는 시차까지 고려했다. 일본군의 복수심이 얼마나 컸는지를 상상할 수 있다.
구국의 영웅, 마침내 순국하다
1932년 12월 19일 오전 6시 30분, 윤봉길 의사는 가나자와 위수구금소를 나섰다. 위수구금소 간수장(看守長) 다쓰다 소토지로(立田外次郞)와 간수 2명, 헌병 3명의 호위 아래 7시 15분 형장에 도착했다. 이때 윤 의사의 모습은 체포될 때 왼쪽 손에 들었던 중절모자를 쓰고 양복도 그대로 입고 있었다.
형장은 이시카와현(石川縣) 가나자와 육군공병작업장의 서북쪽 골짜기다. 이곳은 사람의 왕래가 없고, 높이 약 7m의 단애(斷崖)가 돌기(突起)되어 있어 사격에 적합한 장소였다.
육군대신 아라키 사다오(荒木貞夫)는 육밀(陸密) 제489호로 ‘윤봉길의 압송 및 사형집행은 극비로 시행하라’는 명령서를 제9사단장에게 하달했다.
이에 형장으로 가는 길 요소요소에 헌병을 배치하고, 특히 형장은 보병소대가 그 주변을 에워싸고 철통 경계를 했다.
전일 선임된 형장 입회자는 제9사단 군법회의 검찰관, 가나자와 위수구금소장, 육군 법무관 감옥장, 제9사단 군법회의 녹사, 군의관, 가나자와 위수구금소 간수장이다. 관계자 이외에는 신문기자는 물론 그 누구도 접근을 금지했다. 형장은 긴장감이 감돌았다.
검찰관 네모토 소타로(根本莊太郞)는 군의관 세가와 요시오(瀨川吉雄)에게 윤봉길에 대한 건강진단을 실시토록 했다. 이상이 없음을 확인한 그는 ‘상해파견군 군법회의에서 언도된 사형을 집행한다’며 윤 의사에게 ‘할 말이 있으면 하라’고 했다.
윤봉길 의사는 “사형은 이미 각오한 것이니, 지금에 임하여 아무것도 해야 할 말이 없다.” 일본어로 간단 명료(明瞭)하게 답했다. 이어 헌병들은 윤 의사의 눈을 헝겊으로 가리고, 십자가모양의 형틀에 양손을 두 마디씩 묶었다. 사형 집행은 신속하고 일사불란하게 진행됐다. 녹사(錄事) 다치무라 규베(立村久兵衛)는 “일본어로 하는 말이 명료하고 미소를 짓는 등 그 태도가 극히 담력이 굳세고 침착하였다.” 그 순간을 기록하여 육군대신에게 보고했다.
정부(正副) 사수 2명이 윤 의사 전방 10m 앞에서 ‘엎드려쏴’ 자세로 사격명령을 기다리고 있다가 검찰관의 신호로 7시 27분 쏜 정사수(正射手)의 제1발이 윤봉길 의사 양 눈썹 사이에 명중했고, 7시 40분 군의관이 절명(絶命)을 확인했다. 유해는 노다산 육군묘지에 인접한 가나자와시(市) 공동묘지의 쓰레기하치장 옆 사람이 다니는 좁은 통로에 평장(平葬)으로 묻고 그 흔적을 없앴다.
이렇게 윤 의사의 유해를 극비리 암장한 다음 일제는 유해가 발굴될 때까지, 14년간 유해를 짓밟고 다니는 반인륜적 만행을 저질렀다.
일제는 윤봉길 의사의 무릎을 꿇어앉힌 채 십자가모양의 형틀에 묶어 처형, 그의 기개를 꺾으려 했다. 하지만 그는 죽는 순간까지 미소를 띠며 당당하고 의연함을 잃지 않았다.
한국 독립운동사에 영원히 남을 청년 의사 윤봉길. 25세의 나이로 ‘대한남아로 할 일을 다 하고 미소 띤 얼굴’로 생(生)을 마쳤다.
윤주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 부회장
사진=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