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슨홀미팅을 주최한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도 올해 두 차례 추가 금리인상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그는 잭슨홀미팅 개막 인터뷰에서 “기준금리를 3% 가까이 올리기를 바라고, 올해 두 차례 더 금리를 인상하는 게 적절하다”고 말했다.
조지 총재는 연준 내 대표적인 ‘매파’로 분류된다. 행사에 앞서 공개된 연설문에서 그는 “금리를 정확히 얼마나 더 올려야 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빨리 인상해야 하는지는 상당히 불확실하지만, 통화정책을 중립적으로 돌려놓기 위해서는 점진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미국의 실업률은 7월 기준으로 3.9%로 떨어졌다. 물가상승률도 6년 만에 처음으로 연준의 목표치인 2%에 도달하는 등 미국 경제는 최근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카플란과 조지 총재는 금리 인상에 대해 노골적으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겨냥해 “연준의 통화정책은 정치적 압박에 굴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점진적인 금리인상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에서 자본이 빠르게 빠져나갈 수 있다. 결국 이미 외환위기를 겪고 있는 아르헨티나를 비롯해 터키, 브라질, 러시아, 남아공화국 등 신흥국의 긴축발작은 더욱 확산되고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통상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의 금리가 높아지면 투자자들은 신흥시장의 주식과 채권에 투자했던 자금을 대거 회수한다. 그리고 그 자금을 금리 상승 기조에 있는 선진국에 투자하게 마련이다.
1994년 이후 미국에서 기준금리가 오를 때마다 투자금이 신흥국에서 이탈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1990년대 후반과 2013년 일어났던 긴축발작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올해 들어 신흥시장에서 자본유출 현상이 두드러졌다. 미국 펀드분석업체 이머징마켓포트폴리오리서치(EPFR)에 따르면 지난 4월 말부터 7월 초까지 신흥국 채권펀드에서 유출된 자금은 155억 달러에 달한다.
시장에서는 기초 경제 여건에 비해 저금리로 자금을 조달했던 국가들의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경계감이 확산되고 있다. 금리가 인상되면 신흥국들의 부채상환 부담도 늘어나게 된다.
금융정보업체 딜로직의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부터 2020년까지 신흥국에서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 규모는 3조2297억 달러(약 3640조1949억원)로 추산된다. 통상 채권 상환 시기가 도래하면 새로운 채권 발행을 통해 채무액을 충당해야 한다.
하지만 달러 등 외화 표시 채권으로 자금을 조달해온 신흥국으로서는 부담이 늘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금리인상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원화 약세, 금리인상 압박 등에 시달릴 수 있다.
자본유출과 중국의 경제 부진에 따른 경기침체 등으로 금융 및 부동산 시장도 조정을 받을 수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우선 금리인상으로 인해 달러 강세와 미국의 성장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달러 자산과 미국 시장에 대한 투자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다. 금리인상에 따른 부동산시장 조정도 불가피한 상황이므로, 주택 구입 시기를 조금 늦추는 것도 좋다.
기존에 전세로 살고 있었다면 1~2년 더 지내면서 저점에 맞춰 주택 구입 및 투자 시점을 잡는 게 현명하다. 또 부동산 조정기에는 경매나 부동산담보채권(NPL)에 관심을 갖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