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자 수가 6개월째 100만명대에 머물렀다. 취업자 증가폭도 5개월 연속 10만명대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전개해온 문재인 정부가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고용쇼크’ 속에서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실업자는 103만4000명에 달했다. 지난 1월 102만명을 기록한 이후 6개월 연속 실업자 규모가 100만명대를 유지했다. 20대만 제외하고 30·40·50대에서 전반적으로 실업자가 늘었다.
그나마 청년실업률은 9.0%를 기록, 그동안 고착화됐던 10%대에서 빠져나왔다. 청년실업률은 2014년 1분기 10.1%를 기록하며 10%대 실업률에 진입했다. 9.8%를 기록한 2014년 3·4분기를 제외하면 10%대 실업률을 이어왔다.
지난달 취업자는 2712만6000명으로, 10만6000명이 늘었다. 그러나 지난 2월 취업자 증가폭이 10만4000명을 기록한 이후 5개월째 10만명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급기야 지난 5월에는 취업자 증가폭이 7만2000명까지 떨어졌다.
15~64세 고용률도 67.0%로, 0.1% 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2월 0.1% 감소한 이후 5개월째 하락한 셈이다.
특히 제조업 취업자의 경우 448만2000명으로, 12만6000명이나 줄었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 4월부터 3개월째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은 자동차와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했다. 여성 종사자가 많은 의복 관련 업종에서의 감소세도 영향을 준 것으로 봤다.
교육서비스업 역시 10만7000명이 줄었고,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에서도 4만6000명 감소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6월 기준의 고용상황을 보면, 취업자 수 증가가 5개월 연속 10만명대 이하를 이어왔고, 고용률도 하락했다"며 "인구 감소 등 구조적인 측면의 영향은 물론, 제조업 등 특정산업의 구조조정과 고용지표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정부가 일자리를 최우선으로 한 정책을 전개하고 있지만, 초라한 성적표로 인해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일각에서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영향이 고용시장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지적도 끊이질 않는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경기침체 또는 지속현상이 악화되고, 기업이 고용 관련 비용 등 투자에 대한 부담이 커지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기업이 근로시간을 줄여 실질임금에 대응하고, 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감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