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5년 7월 5일. 흰색 모자에 회색 싱글버튼 슈트, 빨간색 구두를 차려입은 39세의 조병기씨가 부산땅을 밟았다. 그는 불과 두 달 전까지만 해도 서태평양의 작은 섬에서 넝마를 입은 채 사람을 피해 숨어 지냈다. 10년 전에 이미 태평양전쟁이 끝났다는 것도 모르고 혼자만의 전투를 치르고 있었던 것이다.
빈농 출신인 조씨는 1942년 6월 일제(日帝)에 강제로 징용돼 일본 요코스카(橫須賀)시의 한 군수공장에서 일했지만, "돈을 많이 벌 수 있다"는 말에 이듬해 서태평양 펠렐리우섬으로 향했다. 그곳에서 한국인 200여명과 함께 비행장 건설에 투입됐다.
하지만, 반년이 지나도 일본군은 돌아오지 않았다. 그 사이 셋 중 하나는 미군의 총에 맞아 사망했고 나머지 한 명도 미군에 붙잡혔다. 홀로 남은 조씨는 현지인이 키우는 작물을 훔쳐 먹거나 벌레와 새를 잡아먹으며 살아남았다.
조씨의 시계는 기원전으로 돌아갔다. 날씨가 추우면 깡통을 갈아 만든 바늘로 포대를 기워 입었다. 미군용 성냥을 주웠을 땐 불을 처음 발견한 인류처럼 달팽이를 익혀 먹었다. 빈 병 3개에 매일 나무 조각을 넣는 식으로 날짜를 세기도 했다.
1955년 5월 조씨는 작물을 훔치다가 붙잡혀 자연인의 생활을 마감했다. 현지인 중 일본어를 할 수 있는 이들에게 자초지종을 털어놓은 조씨는 미군의 도움을 받아 한국으로 귀환할 수 있었다.
돌아온 조씨는 행복했을까. 고향에 두고 온 아내는 이미 다른 남자와 재혼한 뒤였다. 10년 간의 고된 산속 생활에서 생긴 이질 때문에 몸도 가누기 힘들었다. "돈을 많이 벌 수 있다"는 말이 무색하게도 그에게 남은 것은 귀국 당시 입었던 화려한 정장 한 벌 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