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빈곤층의 생계를 근로소득이 아닌, 재정으로 메웠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가장 소득이 낮은 하위 20%를 말하는 1분위 가구가 정부로부터 받은 이전소득이 사상 처음으로 근로소득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이렇다보니 소득을 높인 뒤 소비를 이끌어 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소득주도 성장 정책에도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이전소득은 생산활동에 나서지 않아도, 정부나 가족 등으로부터 보조받는 소득을 말한다. 이전소득이 많다는 것은 월급보다 외부의 지원을 더 많이 받았다는 것을 얘기한다.
이전소득으로는 △국민연금 △기초연금 △기초생활보장급여 등 공적 이전소득과 자녀가 부모에게 주는 생활비 등 사적 이전소득 등으로 나뉜다.
1분기 1분위의 이전소득은 전년 동기 49만1000원 대비 21.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폭이 역대 최대 수준에 달했다.
이 같은 결과는 문재인 정부 들어 전개한 정부 주도의 소득주도 성장 정책 영향이 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들어 정부는 근로장려금(EITC)의 가구당 최고금액을 인상했다. 또 청년·신혼부부의 전세지원금도 제공하는 등 저소득층의 소득을 지원해주는 정책을 펼쳐왔다.
반면 1분위 근로소득은 전년 동기 54만5000원과 비교해 13.3% 줄었다. 역시 사상 최대 낙폭을 보였다.
정부는 △70세 이상 가구주 비중 증가 △서비스업 부진에 따른 임시·일용직 고용 악화 탓이 컸던 것으로 해명한다.
최저임금 인상 영향도 이전소득을 높이는 데 무시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최저임금이 인상돼 근로시간이 자연스레 감소된 점 역시 근로소득을 낮추는 요인이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일자리·소득주도 성장의 취지가 근로에 따른 소득을 키워 빈곤층의 정부 의존도를 낮추는 시장 여건을 만드는 것인 만큼, 본래 취지가 잘 확산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