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창] 진정한 파트너십

2018-04-30 15:10
  • 글자크기 설정

국내기업 '베트남 러시' 가속화

거대한 소비시장으로 탈바꿈 진행중

베트남인들의 정서를 이해하고 신뢰 쌓아야

지난 4월 20일(현지시간) 베트남 호찌민시의 한 도로에서 오토바이 행렬이 교통 신호에 대기하고 있다. [사진=문은주 기자]


많은 국내 기업들의 '베트남 러시'가 가속화되고 있다. 서울 강남역 주변 학원은 베트남어 입문 수업을 속속 개설하고 있다. 호찌민, 하노이 등 베트남의 주요 도시를 운항하는 항공편은 만석이라 일찍 서두르지 않으면 탑승권을 구하기도 힘들다.

처음 베트남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도로마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이어지는 오토바이 물결에 곧 익숙해진다. 인구 9300만명에 오토바이 수는 7000만대다. 자동차도 많이 늘었다. 운전자들은 마치 물고기떼처럼 일사불란하게 도시를 누비고 다니는 소형 오토바이들을 잘 피해다녀야 한다. 고층건물에는 어김없이 다국적 기업들의 화려한 네온사인 간판이 번뜩인다. 베트남이 뜨고 있다.
베트남의 면적은 남북한을 합친 한반도 전체의 1.5배다. 남중국해 해안선을 따라 관광 명소와 천연자원이 풍부하다. 거대한 글로벌 소비 시장인 중국과의 접근성도 뛰어나다. 인구의 절반 이상이 15세에서 39세 사이다. 젊고 의욕도 넘친다. 사회주의를 고수하고 있지만 자유경제시장 체제를 받아들인 나라, 상대적으로 외국인에게 배타적이지 않은 곳이다. 글로벌 기업들의 베트남 진출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

1975년 4월 30일 사이공이 함락되며 15년간 지속된 베트남전이 끝났다. 다음날인 5월 1일 사이공은 북베트남 초대 대통령 이름을 딴 호찌민으로 이름이 바뀐다. 동족상잔의 전쟁이 남긴 상처는 엄청났다. 하지만 종전(終戰) 43년이 지난 베트남은 완전히 다른 모습이다. 종전 이후 필사적으로 고국을 탈출했던 베트남계 보트 피플은 이제 세계 각지에서 상권을 확대하고 있다. 수년째 6~7%대의 고도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대로 가면 머지않아 일본·한국·중국을 잇는 아시아의 신흥 공업국 대열에 올라설 조짐이다.

열흘 전 아주경제는 호찌민 시내 중심에 위치한 렉스호텔에서 한·베트남경제협력포럼을 개최했다. 화려한 조명이 밤늦은 시간까지 주변 거리를 수놓고 있었다. 식당과 공원 주변을 꽉 메운 젊은이들의 모습은 활기가 넘쳤다.  

베트남 호찌민 곳곳에서 공사 중인 마천루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사진=문은주 기자]


베트남의 한국에 대한 러브콜은 대단하다. 한국이 베트남에 가장 적극적인 투자국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전쟁의 잿더미 속에서 '한강의 기적'을 이룩한 한국의 경험을 베트남인들은 소중히 여기는 듯하다. 베트남에서도 한국어 열풍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한국어과를 개설한 베트남 대학이 20곳이 넘는다. 지난해 말 기준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은 5500여개다. 삼성그룹 등 한국 대기업을 향한 현지의 취업 열풍은 대단하다.  

포럼에 참석했던 리꽝만 베트남 투자기획부 차관은 "역사상 한국과 베트남의 협력관계가 이만큼 좋은 시기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기업의 성공은 곧 우리의 성공이다"고 강조했다. 포럼에 참석한 한국 기업인들에게 그저 듣기 좋으라고 한 말은 아닐 것이다. 다른 베트남 정부 관계자는 앞으로 10년 넘게 베트남의 황금시기는 이어질 것이라고 자신했다. 세계 기업들의 생산기지에서 거대한 소비시장으로 탈바꿈한 10년 후 베트남의 모습은 어떨지 상상해 보기도 했다.

베트남은 경제성장률·노동력·인프라·정치안정성의 4박자를 고루 갖춘 곳이다.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베트남 내수 시장은 우리기업들의 새로운 돌파구이다. 중국과 미국 등에 집중된 경제 의존도를 줄이고, 우리의 경제영토 범위를 아세안으로 확대코자 하는 것이 문재인 정부의 '신(新) 남방정책’이다. 문 대통령은 이 정책을 실현할 교두보이자 핵심국가인 베트남을 작년 취임 후 벌써 두 번이나 방문했다.

최근 한국 기업들의 베트남 투자붐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1988년 이후 올해 3월 현재 누적 투자액이 590억 달러(약 62조9884억원)에 달한다. 단연 한국은 대(對)베트남 제1투자국이 됐다. 법인세 우대, 용지 혜택 등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해외투자 유치 정책과 규제완화가 우리 기업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특히 중국이 한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응해 경제보복 조치를 단행하자 국내기업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베트남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게다가 미·중 무역갈등으로 우리나라 기업들의 대(對)중국 중간재 수출도 갈수록 어려워질 전망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베트남 투자 신중론도 제기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베트남의 제도와 정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무리하게 현지 진출을 추진했다가 낭패를 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베트남은 사회주의 국가인 만큼 기업들이 예상치 못한 리스크도 곳곳에 숨어 있다.

포럼에 참석했던 윤주영 호찌민시 무역관장은 "베트남에 대한 투자에서 강점과 약점이 상당히 공존한다"고 밝혔다. 저렴한 임금과 풍부한 자원, 인력 등 많은 강점에도 불구하고 내수기반 산업의 부재, 법률과 행정절차의 불투명성 그리고 숙련된 노동 인력의 부족 등이 약점으로 꼽인다. 

베트남 내수시장 진출은 글로벌 기업들에 필수 과제가 되고 있다. 현재 베트남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중국의 50% 수준에 불과하지만, 향후 가파른 인건비 상승으로 현지에 진출한 해외기업들에 부담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임금 상승이 구매력을 끌어올려 베트남 소비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높인다.

현지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한 기업인들과 교민들은 베트남인들의 정서를 이해하고 그들의 신뢰를 꾸준히 쌓는 것이 성공의 밑거름이라고 입을 모은다. 문 대통령은 지난 3월 베트남 방문 시 하노이 시내의 서민식당에서 일반 시민과 쌀국수로 아침 식사를 하며 담소를 나눴다. 그는 '사람과 사람,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는 교류'가 양국 파트너십 강화의 밑거름이라고 강조했다. 포럼에 참석한 룽반쭈 전 베트남 무역부 차관은 문 대통령의 이러한 '진심 외교' 노력을 크게 평가했다.

상대방과 진정한 동반자 관계를 이끌어내려면 '진정성'과 '인내심'이 필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