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발 인프라 투자가 채권시장의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각)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1조5000억 달러의 인프라 투자안을 발표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연방정부의 인프라 투자를 위한 예산 활용 시 기존 예산의 전용 가능성을 언급한 점은 고무적”이라면서도 “아직은 확인할 게 많다”고 말했다.
강 연구원은 “우려스러운 점은 이번 예산안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무려 3.1%로 가정하고 향후 6년간 연평균 경제성장률 3%를 기초로 작성됐다는 점”이라며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방준비제도가 전망한 올해 성장률은 2.5%, 내년도에는 2.1%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시각차”라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 정부가 과도하게 높은 성장률을 가정한 이유는 결국 트럼프 정부가 주장하는 감세 및 재정확대가 경제성장으로 이어지고 궁극적으로 세수 확대가 기대돼 실제 재정적자 부담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논리를 펼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강 연구원은 “올해 미국 성장률이 3%에 미치지 못하고 장기 성장률이 연준이 전망한 1.8%로 수렴할 경우 현재 트럼프 정부가 제시한 세수확대로 인한 재정적자 축소 경로는 전혀 가능성이 없다”며 “예산안 및 인프라 투자 계획이 의회에 제출된 대로 통과될 경우 채권시장에는 상당히 위협적인 요인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분간 채권시장은 의회 협상 과정에서 어떤 뉴스 흐름이 형성될지 경계감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구체적인 협의 과정이 발표되기 전까지 미국 국채 금리는 방향성을 형성하기보다는 경계감에 제한적 등락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각)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1조5000억 달러의 인프라 투자안을 발표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연방정부의 인프라 투자를 위한 예산 활용 시 기존 예산의 전용 가능성을 언급한 점은 고무적”이라면서도 “아직은 확인할 게 많다”고 말했다.
강 연구원은 “우려스러운 점은 이번 예산안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무려 3.1%로 가정하고 향후 6년간 연평균 경제성장률 3%를 기초로 작성됐다는 점”이라며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방준비제도가 전망한 올해 성장률은 2.5%, 내년도에는 2.1%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시각차”라고 주장했다.
강 연구원은 “올해 미국 성장률이 3%에 미치지 못하고 장기 성장률이 연준이 전망한 1.8%로 수렴할 경우 현재 트럼프 정부가 제시한 세수확대로 인한 재정적자 축소 경로는 전혀 가능성이 없다”며 “예산안 및 인프라 투자 계획이 의회에 제출된 대로 통과될 경우 채권시장에는 상당히 위협적인 요인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분간 채권시장은 의회 협상 과정에서 어떤 뉴스 흐름이 형성될지 경계감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구체적인 협의 과정이 발표되기 전까지 미국 국채 금리는 방향성을 형성하기보다는 경계감에 제한적 등락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