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이 '경제관계 3.0시대'를 맞아 아세안과 중앙아시아를 향한 공동투자 파트너로 힘을 모을 전망이다. 2주 앞으로 다가온 '한·중 경제장관회의'가 양국의 경제파이를 키울 신시장 발굴의 디딤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주 양국 정부는 '제15차 한·중 경제장관회의'에 대한 국장급 실무회의를 마쳤다. 양국은 실무회의에서 경제협력을 위한 5대 의제 실현에 동의했다. 5대 의제는 이번 주 중 최종 확정될 전망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21일 “시진핑 주석이 초점을 맞추는 일대일로와 우리나라 신북방·신남방정책에서 교집합을 찾아 제3국으로 공동진출하는 개념에서 경제협력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양국이 제3국의 큰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중국과 한국 모두에 보완적인 측면이 있다. 이 때문에 함께 진출하는 게 이득"이라며 "투자도 하고 해외에서 수주를 받았을 때 공동으로 수주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비즈니스 용어를 쓴다면 컨소시엄이 어울릴 것”이라고 말했다.
제3국 대상으로는 중앙아시아와 아세안지역이 될 전망이다. 이미 일대일로와 신북방·신남방정책 대상국이 상당부분 교차돼 양국이 기대하는 경제협력의 큰 틀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또 “한국과 중국의 국가정책 방향이 겹치기도 하지만 기술적인 측면에서 한국에 경쟁력 있는 기업이 많다”며 “우리 기업의 기술과 중국 자본 또는 한국 자본과 중국기업의 기술 등 조화를 통해 제3국에 대한 진출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중국과 함께 공동 진출에 나설 기업을 선발하는 등 라인업을 구성하기보다 해외 프로젝트 사업 발주 후 라인업을 구성하는 순서로 경제협력이 추진되는 것에 무게가 쏠린다.
정부 관계자는 “중국은 일대일로사업이 시진핑 주석의 최대 화두인데, 다른 국가와도 협력을 추구하고 있다”며 “중국은 한국을 가장 중요한 파트너로 생각하는 만큼, 상호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일대일로 사업이 단순히 인프라 구축 등 건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중국이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첨단기술 분야를 포함해 주변국가와의 기술협력까지 그려놓은 상태라는 게 정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한국기업의 기술분야 진출과 해외시장 판로 개척이 기대되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이번 '한·중 경제장관회의'가 중국시장뿐 아니라 중국을 통한 주변시장 확보라는 측면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또 '한·중 경제장관회의'에서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수출분야, 관광시장 등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경제협력 키워드가 의제에 담길 것으로 보인다.
한 민간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우리 정부도 신북방·신남방정책을 통해 제3국에 대한 주도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중국과도 손을 잡는 묘안을 세워야 할 때”라며 “중국 정부가 경제장관회의를 기점으로, 여전히 사그라지지 않은 지방정부의 반한(反韓)감정까지 당 차원에서 해소해주는 등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