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올해도 '슈퍼사이클(장기호황)' 기조를 이어갈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일 시장조사업체와 증권가에 따르면 반도체 성장세는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지만, 성장 폭은 지난해에 비해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업계에서는 올해 D램의 경우 기업용 서버 등의 꾸준한 수요로 인해 출하량은 늘지만, 평균판매단가(ASP)는 하락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D램 생산라인을 늘리고 있어 공급과잉 현상이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낸드플래시 역시 적절한 수요 공급이 필요할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낸드플래시는 2016년 368억달러(약 39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46.2% 증가한 538억달러(약 57조4000억원) 규모로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IHS마켓은 올해 낸드플래시 규모는 지난해보다 10.0% 확대된 592억 달러(63조2000억원)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른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는 올해 1분기 낸드플래시 공급이 작년 4분기에 비해 6.0% 증가하지만, 수요는 0.1%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이같은 공급 과잉은 가격 하락에 영향을 주게 된다.
D램익스체인지는 1분기가 전통적으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비수기이고, 메이저 업체들이 지속적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는 점, 첨단 제품인 3D(3차원) 낸드플래시의 수율이 개선되고 있는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
중국이 내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양산에 들어가면서 본격적인 '중국 반도체 굴기(崛起)'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점도 반도체 업계에서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은 정부가 나서서 막강한 규모의 투자를 지원하고 한국·일본·대만에서 우수한 기술 인력을 영입하고 있으며, 미국 마이크론 등 해외 업체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반도체 공정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2018년 말이면 메모리 반도체 양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산업이 중국 등 경쟁자가 많아지면서 지난해처럼 급격하게 성장하지는 않겠지만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시장의 가파른 성장 덕에 내년에도 성장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