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보다 다소 둔화한 수준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개발은행(ADB), 세계은행(WB)은 중국 정부의 신용대출과 레버리지 억제 노력 등을 근거로 전망치를 지난해 6.8%에서 각각 6.5%, 6.4%, 6.4%로 낮춰 잡았다. 하지만 여전히 6%대의 고속 성장이다.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지난달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시진핑(習近平)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경제 사상’을 전면에 내세워 성장 속도보다 ‘질적 발전’에 초점을 두고 리스크 관리를 중점 과제로 삼겠다고 선언했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내실 다지기에 집중한다는 것이다.
양웨이민(楊偉民) 중앙재경영도소조 판공실 부주임도 지난달 '중국경제연회' 연설에서 "이제 고속 성장 단계가 끝났음이 확실해졌다"고 말했다.
중국의 대표 싱크탱크 사회과학원도 얼마 전 ‘경제청서: 2018 중국 경제 형세 분석과 예측’(이하 청서)을 통해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작년보다 0.1%p 낮춘 6.7%로 발표했다.
청서는 공급 측면에서 중국의 노동력 공급이 2012년을 기점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선진국의 경기 회복세로 외부 수요 증가가 예상되지만 미국의 보유자산 축소와 금리 인상, 세금 감면 정책 등이 신흥국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정부의 신용대출 긴축과 부동산 규제 정책 실시로 투자에 의한 성장이 다소 약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가계 소비 성장은 정부, 기업, 가계부문 간 소득 분배 불균형과 여전히 높은 지니계수(소득 분배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제한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경제 성장의 긍정적 요소로 △새로운 대외개방(상하이 자유무역지구와 새 외국인투자모델 등)과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 건설에 따른 외부 수요 안정 △실업률 2013년 이후 최저 수준 유지 △가계 소득 증가로 소비 여건 개선 △물가 안정 등을 꼽았다.
청서는 경기 선행 지표로 올해 고정자산투자가 69조2000억 위안(약 1경1319조원)에 달해 명목 6.3%, 실질 2.4%의 성장률을 기록해 지난해보다 각각 0.7%p, 0.2%p 하락할 것으로 봤다.
올해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0%로 작년보다 0.4%p 높고,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은 3.6%로 작년보다 상승폭이 2.6%p 줄어 공산품 가격 상승세는 다소 완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도시와 농촌의 1인당 가처분 소득 실질 상승률은 각각 5.8%, 6.8%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중국 경제는 합리적인 구간에서 운영되고 고용, 물가가 안정을 유지해 경착륙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주하이빈(朱海斌) JP모건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을 지난해보다 낮은 6.5%로 예상하면서 “성장률 하락은 중국 정부의 선제적인 정책 대응의 결과이지, 경제 하락세를 막지 못한 것이 아니다”고 강조해 중국 경제 경착륙 가능성을 낮게 점쳤다고 텅쉰차이징(騰訊財經)이 보도했다.
중요 거시경제 지표인 통화·환율에 대해 류윈춘(劉元春) 중국인민대 부총장은 “(지난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안정적인 통화 정책의 중립성 유지'가 강조된 것은 당(黨)이 통화 정책에 간섭하지 않고, 통화 정책을 경제성장과 맞춰 나가겠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류 부총장은 많은 금융리스크가 과도한 통화 공급에서 비롯됨을 지적하면서 “작년 중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 속도가 10~11%이기 때문에 올해 광의통화(M2)의 증가 속도는 10% 전후로 작년보다 낮은 수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리고 환율 안정은 거시경제 조정의 주요 목표임을 강조하며 외부환경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위안화 환율은 합리적인 균형 수준에서 안정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지난달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시진핑(習近平)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경제 사상’을 전면에 내세워 성장 속도보다 ‘질적 발전’에 초점을 두고 리스크 관리를 중점 과제로 삼겠다고 선언했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내실 다지기에 집중한다는 것이다.
양웨이민(楊偉民) 중앙재경영도소조 판공실 부주임도 지난달 '중국경제연회' 연설에서 "이제 고속 성장 단계가 끝났음이 확실해졌다"고 말했다.
중국의 대표 싱크탱크 사회과학원도 얼마 전 ‘경제청서: 2018 중국 경제 형세 분석과 예측’(이하 청서)을 통해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작년보다 0.1%p 낮춘 6.7%로 발표했다.
또 정부의 신용대출 긴축과 부동산 규제 정책 실시로 투자에 의한 성장이 다소 약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가계 소비 성장은 정부, 기업, 가계부문 간 소득 분배 불균형과 여전히 높은 지니계수(소득 분배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제한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경제 성장의 긍정적 요소로 △새로운 대외개방(상하이 자유무역지구와 새 외국인투자모델 등)과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 건설에 따른 외부 수요 안정 △실업률 2013년 이후 최저 수준 유지 △가계 소득 증가로 소비 여건 개선 △물가 안정 등을 꼽았다.
청서는 경기 선행 지표로 올해 고정자산투자가 69조2000억 위안(약 1경1319조원)에 달해 명목 6.3%, 실질 2.4%의 성장률을 기록해 지난해보다 각각 0.7%p, 0.2%p 하락할 것으로 봤다.
올해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0%로 작년보다 0.4%p 높고,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은 3.6%로 작년보다 상승폭이 2.6%p 줄어 공산품 가격 상승세는 다소 완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도시와 농촌의 1인당 가처분 소득 실질 상승률은 각각 5.8%, 6.8%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중국 경제는 합리적인 구간에서 운영되고 고용, 물가가 안정을 유지해 경착륙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주하이빈(朱海斌) JP모건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을 지난해보다 낮은 6.5%로 예상하면서 “성장률 하락은 중국 정부의 선제적인 정책 대응의 결과이지, 경제 하락세를 막지 못한 것이 아니다”고 강조해 중국 경제 경착륙 가능성을 낮게 점쳤다고 텅쉰차이징(騰訊財經)이 보도했다.
중요 거시경제 지표인 통화·환율에 대해 류윈춘(劉元春) 중국인민대 부총장은 “(지난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안정적인 통화 정책의 중립성 유지'가 강조된 것은 당(黨)이 통화 정책에 간섭하지 않고, 통화 정책을 경제성장과 맞춰 나가겠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류 부총장은 많은 금융리스크가 과도한 통화 공급에서 비롯됨을 지적하면서 “작년 중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 속도가 10~11%이기 때문에 올해 광의통화(M2)의 증가 속도는 10% 전후로 작년보다 낮은 수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리고 환율 안정은 거시경제 조정의 주요 목표임을 강조하며 외부환경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위안화 환율은 합리적인 균형 수준에서 안정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