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용역은 지하수 시설 위치와 수량, 수질, 가동 상태, 점검·정비 현황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지역 특성이 반영된 지하수 실이용량 분석 및 실효성 있는 자료 축적을 통한 지하수 총량제 시행 기반 구축을 위해 지난해 8월부터 추진해왔다.
1차년도 용역 조사 대상은 천안·아산·당진·홍성·논산·금산·계룡·서산·부여·보령·태안 등 11개 시·군 공공 및 대용량 지하수 1만 632공이다.
조사 결과, 1만 632공 중 공공지하수는 7006공으로 나타나고, 이 중 현장에서 확인된 지하수는 5754공으로 집계됐다.
원상복구 등으로 시설이 없는 지하수는 1252공으로 분류됐다.
이에 따른 공공지하수 시설 관리 대책으로는 △시설이 없는 1252개 관정 행정자료 정리 △사용중지 시설 활용방안 수립 △사용 시설 관리계획 수립 등이 제안됐다.
도 관계자는 “이번 용역은 도내 지하수 개발 가능량 대비 이용량이 48.3%로 전국 평균을 훨씬 웃돌고 있는 상황에서 지하수에 대한 체계적인 보전·관리를 위해 추진했다”며 “용역 결과는 ‘지하수 통합정보시스템’에 입력, 정책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도는 내년 공주·서천·예산·청양 등 4개 시·군에 대한 이용 현황 조사를 추가로 실시하고, △대용량 지하수 양수 시험 △이용량 모니터링 △실이용량 분석 △조사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용역을 통해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지하수 총량제는 신뢰성 있는 지하수 정보 DB 구축, 각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지하수 실이용량·함양량·개발 가능량 분석기법 연구개발, 깨끗하고 넉넉하며 안전한 지하수 공급을 통한 도민에 대한 물 복지 구현을 목표로 도입을 추진 중이다.
도는 지하수 총량제 도입을 위해 1단계로 지하수 스마트 관리(QR코드) 시스템 구축 사업과 지역 지하수 관측망 설치 지원 등을 추진해 관리 기반을 다진다.
2단계인 정책 기반 마련 과정에서는 조례 개정, 시·군 지하수 특별회계 설치 및 지하수 이용부담금 도입 지원 활동 등을 추진한다.
마지막 3단계에는 지하수 통합정보 시스템 운영·관리 고도화, 지하수 관측자료 분석을 통한 가뭄 예측, 지하수 장해요인 사전예방, 상수도 미 보급지역 물 공급 확대 등을 통해 깨끗하고 안전한 지하수 이용 환경을 조성해 나아갈 방침이다.
도가 지난해 전국 최초로 구축한 지하수 통합정보시스템은 국토부와 환경부, 행자부 등 6개 중앙부처가 각각 관리해 온 수량, 수질·먹는 샘물, 민방위 비상급수 및 온천 등의 정보와 도내 15개 시·군이 분산 관리해 온 지하수 관련 정보를 연계한 종합 관제 시스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