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살충제 계란' 파동에 따른 식품안전 우려가 커지며 계란 산지가격이 절반 가까이 급락했지만,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소매가는 '찔끔' 내리면서 소비자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추석 전까지 계란 가격 안정과 식품안전에 총력을 다하기로 했다.
5일 농림축산식품부와 축산물품질평가원, 대한양계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11일 169원이었던 대란 1개 산지가격은 살충제 계란 파동 이후인 같은 달 18일 147원, 30일엔 105원으로 37.9% 떨어졌다. 산지에서는 30개 들이 한 판 가격이 3150원에 팔리는 셈이다.
대형마트들과 장기 계약을 맺은 계란수집판매상들의 공급가가 산지 가격보다 높은 데다, 연중 계란 소비가 가장 많은 시기인 추석 연휴가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부진했던 계란 소비가 점차 살아날 가능성도 있어 추가 가격 인하는 어렵다고 대형마트 측은 해명했다.
정부는 계란 수급과 가격 안정을 위해 계란 비축물량을 추석 성수기에 맞춰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계란공급량은 평년(일일 4000만개)에 비해 85% 수준(3400만개)이지만, 소비심리 위축(계란판매율 79%)으로 농가 재고가 증가하며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달 중순부터는 추석 수요 증가로 점차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민연태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지난해 11월 불거진 AI로 인해 수개월간 부족했던 계란 공급량은 살충제 계란 사태 이후 수요가 줄면서 추석 성수기 물량을 맞출 정도로 충분해졌다"며 "정부가 당장 시장에 개입하긴 어렵지만, 계란 수급·가격 안정을 위해 추석 직전 성수기에 비축량을 푸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식품안전을 위해 계란을 포함한 축산물 안전 대책에도 매진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내년부터 농장별 사육환경을 계란 껍데기나 포장지에 표시하는 '사육환경표시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현재 쇠고기와 돼지고기에 시행하고 있는 축산물 이력제를 오는 2019년부터 닭고기와 계란에도 적용하기로 했다.
계란유통센터(GP)를 통한 계란 수집·판매도 의무화한다. 알기 어려운 난각 표시제도를 구체적이면서도 알기 쉽게 개선하고, 생산·유통 단계에서 예방 차원의 사전 검사도 강화하기로 했다.
신규 축산 농가에 대해 유럽연합(EU) 기준 사육밀도(마리당 0.075㎡)와 동물복지형 축사를 의무화하고, 기존 농가들은 2025년부터 강화된 기준을 적용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동물복지형 농장 확대를 위해 시설 현대화 자금이나 직불금을 지원하는 등 인센티브를 농가에 직접 지원하기로 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대비해 오는 10월부터는 '심각' 단계 수준의 AI 방역을 실시한다. 초기 대처 강화를 위해 의심 신고를 하면 119처럼 한 시간 내에 출동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하기로 했다. 가금농장에 폐쇄회로(CCTV) 등 방역 인프라를 2570곳으로 확대 설치하고, AI 공동 방제단도 450개 반에서 540개 반으로 늘린다는 복안이다.
농식품의 생산 단계에서부터 안전 관리도 강화하기로 했다.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에 대해 연 1회만 실시하던 잔류농약 검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키로 했다.
또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 가운데 우리 국민이 많이 소비하는 177개 품목을 대상으로 조리과정을 거친 뒤 중금속, 곰팡이 등 유해성분 조사를 하기로 했다. 수산물 유해물질 분석 장비도 4개 시·도에서 10개 시·도로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