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북한발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가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우리경제에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기준금리에 대해 현상 유지를 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행은 31일 서울 중구 본부에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1.25%로 동결했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지난해 6월 0.25%포인트 하향된 이후 14개월째 제자리를 지키게 됐다.
금리 동결의 가장 큰 이유는 국내 경기의 회복 부진 탓이다. 한은은 그동안 금리인상을 위해서는 완연한 경기회복세를 확인해야 한다고 꾸준히 밝혀왔다.
그는 "중요한 것은 경기와 물가 흐름이 지속하느냐 판단"이라며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회복세가 기조적이고 수요 압력으로 판단되면 뚜렷한 성장세에 부합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3% 성장률 달성에 대해 단정적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오는 10월 수치를 다시 발표할 것이고 현재는 여러가지 지켜봐야 할 요인들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 7월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상향한 이후, 추경이 집행되면 0.2%포인트 추가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대내외 여건 변화에 상황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성장세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글로벌 경기회복세와 추가경정예산 집행을 꼽았으며, 하방리스크 요인으로는 북한발 지정학적 리스크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 등을 언급했다.
이 총재는 "예상보다 경기가 회복할 수 있는 요인과 위축될 수 있는 요인이 함께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라며 "특히 지정학적 리스크가 한층 고조됐고 사드 갈등 부작용도 커지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결국, 경제 회복 속도가 더 빨라질 요인이 늘어나고는 있지만, 하방리스크 역시 커지면서 이를 섣불리 판단하기 힘들어진 것이다. 이는 금융시장의 예상보다 빠른 금리 인상이 힘들 수도 있다는 의미다.
그는 "경제 상황이 잠재성장률을 웃돌고 물가도 목표 수준에 안착된다면 뚜렷한 성장세라고 하는 기준에 어느 정도 충족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은이 전망하는 올해 경제성장률은 2.8%로 잠재성장률 수준이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중기 목표치인 2%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