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장호칼럼] ​I와 Me의 불일치가 부르는 코메디같은 청문회

2017-07-31 20:00
  • 글자크기 설정
I와 Me의 불일치가 부르는 코메디 같은 청문회
 

[사진=박장호]

영어 I와 Me는 ‘나’를 지칭하는 단어로 I는 주격, Me는 목적격으로 쓰인다는 것 외에는 크게 별다른 차이 없이 자주 쓰이는 영어 단어이다. 그러나 심리학에서는 I는 내가 인지하는 나로서 ']주관적인 나'를 뜻하고, Me는 남들이 보는 나인 '객관적인 나'를 뜻하니 큰 차이가 있는 용어이다. I와 Me는 서로 일치할까? 아니면 차이가 날까?
우리는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의 일에 대해서는 아무 기억이 없다. 출생 후 영유아기에 수많은 일들이 있었겠지만, 보통 사람의 기억능력은 5살이나 6살 정도부터 가능하지 않을까 한다. 이런 기억들이 생기면 학습이 이루어진다. 학습능력이 발전하면 지식의 축적이 생기면서 사회적 관계도 형성되기 시작한다. 초등학교 전후로 또래집단이 생기고 또래들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공유하기 시작한다. 소통되는 언어만 보더라도 초등생끼리의 말이 다르고 중2의 문화가 다르고 대학생들의 컬처가 다르다.
50대가 중2들이 부르는 랩을 따라하거나 SNS 언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것은 밤을 하얗게 새운 부단한 노력이 있거나, 천부적 자질을 가졌거나 둘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런 재주의 소유자는 50대 동료그룹 사이에서 젊은이와 소통가능한 사람으로서 로망일 수도 있지만 쓸데없는 일에 에너지를 심하게 쓰는 약간 이상한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다. 이렇듯 사회적으로도 I와 Me에 대해서는 평가가 다를 수 있다.
‘내가 보는 나, I'는 사회화를 거친다. 초등학교에서 학교폭력을 당했을 수도 있고 가해자였을 수도 있다. 대학에 가서 사회 불평등에 대해 고민했을 수도 있고 계층론을 옹호했을 수도 있다. 금수저로 태어나 하버드에 유학을 갔지만, 아시아에서 온 발음이 약간 이상한 아이로 차별받아 갑자기 반미투사로 돌변해 돌아올 수도 있다. I는 사실 부모도 잘 모른다. 유치원 시절부터 생긴 또래문화, 학교에서의 일을 부모에게 일일이 알리지 않고 살아가는 대부분의 우리는 오직 나만이 내 성장과정에서의 우울과 분노, 영광의 순간을 알고 극복과 절망이 어우러진 나, I를 정확히 알고 있다.
영문법에서 목적격이라 설명되어지는 Me는 남이 보는 나이다. 사회화 과정을 거친 개인에게 형성된 자아가 남들에게 비춰지는‘나’로서 객관적 자아이다.

I와 Me는 일치할까? 나는 선량하고 정의감 있으며 애국적인 1등시민이라 생각하지만, 남들은 나를 그렇지 않게 볼 수도 있다. 밥 한번 안 사면서 기회만 되면 뒤를 칠 수 있는 사람으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런 불일치의 극치는 나르시시즘(Narcissism)이다. 물에 비친 자기 모습이 아름다워 물 속에 비친 나를 그리워하다가 지쳐 죽을 정도였다는데 남들도 그렇게 생각했을까?
이런 I와 Me의 괴리는 개인의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 소년기에는 사회생활의 폭도 좁고 또래그룹이 한정적이라 별 차이가 안 나지만 행동반경이 넓어지고 비즈니스가 커지면, 우리가 보는 그는 장님이 코끼리 만지는 것과 비슷해져 내가 아는 그가 아닌 경우가 많다.
I와 Me의 불일치는 개인의 영역에서 벗어나 한 조직체인 기업이나 정부에서도 생길 수 있다. I는 사업보국을 모토로 미래에 대한 혜안을 가지고 삼성전자를 세워 이 나라를 먹여 살리고 국가에 헌신했는데, 보여지는 삼성 Me는 반도체라인의 직원들에게 백혈병만 안겨준 악덕기업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 시대정신을 가지고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해 세금을 올리겠다는 정부방침에 왜 이리 와글대는 것인지 정책결정자들이 이해를 못할 수도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실 I와 Me의 불일치는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자연스런 일인 경우가 더 많다. 그렇지만 그런 사람이 예술을 하든지 학문을 하든지 장사를 하든지 크게 상관을 안 해도 세월이라는 큰 파도는 대충 상어인지 고래인지를 분간해 낸다. 이는 한 인간을 영원히 속일 수도 있고 대중 전체를 한순간 다 속일 수도 있지만 대중 모두를 영원히 속일 수는 없다는 진리로 설명되어지는 것과 비슷하다. 우리 모두의 눈과 사고는 비슷하여 극단적인 것들은 세월 속에 저절로 걸러지는 것이고 간혹 독특한 사람들을 보는 것이다.
문제는 이렇게 덜 걸러진 사람들이 때때로 역사의 전면에 등장한다는 것이다. I는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고 평생을 헌신하며 살아왔는데 무식한 대중이 나를 폄하한다고 스스로 생각하는 듯하다. 일부의 여론조작을 메이저 언론이 동조하고 대중이 혹하여 내가 이런 고통을 당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간혹 지도층에 혜성처럼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새로운 정부가 출범했다. 대통령이야 I와 Me를 논하기 전에 대다수의 국민이 비밀, 평등, 직접선거로 뽑은 분이니 그 자체로 정통성을 가진다. 그 대통령은 국민이 위임한 정당성에 따라 내각의 후보자를 선정하고 국무총리와 장관후보자들은 청문회를 통해 Me의 형태로 국민들에게 비춰진다. 해임권도 파면권도 없는 국민들이 그냥 눈으로, 소문으로 청문회를 지켜본다. 그런데 그 눈이 매의 눈이다. 후보자들이 영화배우처럼 잘생기지 않아도 기대가 간다. 대단한 학문적 성과를 이루지 않아도 정책은 잘할 것 같다. 세파를 헤쳐 나가면서 몸에 티끌이 묻어 청백리가 아니라도 믿음직한 가장처럼 보인다. 그런데 청문회가 진행되면서 점점 의아하고 뭔가 이상한 일들이 자꾸 보여진다. 선량한 민초들은 남세스러워 다 혀를 끌끌 차는 일에 본인들은 왜 그리들 당당한가! 얼마나 더 후보자의 보여지는 모습, Me가 후보자가 생각하는 모습, I가 아니라고 귓구멍에 대고 직접 소리쳐야 알아들을 것인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