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신칼럼] ​핀테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프라

2017-07-27 20:00
  • 글자크기 설정
핀테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프라
 

[사진=정유신]

4차 산업혁명은 인터넷·모바일 기반,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로봇, 3D프린터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그중에서도 인터넷, 모바일 기반은 소비자와 생산자를 직접 연결한다는 점에서 4차 산업혁명의 유통혁명 성격을 대변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은 1~3차 산업혁명과 달리 제조업뿐 아니라 유통산업, 특히 무형이어서 생산과 배달시간이 필요하지 않은 금융업을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그럼 금융업을 어떤 방향으로 변화시킬까. 한마디로 금융의 디지털화, 즉, 핀테크를 한층 가속화시킬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왜냐면 2차 인터넷시대의 도래, 즉 PC에서 모바일 기반 시대로 바뀌면서 소비자는 언제 어디서나 중간업체 없이 생산자와 바로 만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모바일플랫폼 상에 금융서비스를 공급하면 금융회사의 공간비용·인력비용을 절감하고 금융서비스 시간도 줄일 수 있는데, 굳이 금융회사의 많은 지점과 인력을 다 가져갈 필요가 없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성격 중 하나가 디지털화(digitalization)라고 보면 금융도 디지털화, 즉 핀테크가 필연적 추세인 셈이다.
이를 반영해서인지 국내외를 불문하고 최근 금융시장에서의 핀테크 바람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시작해서 영국을 거쳐 중국 등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고, 그 영역도 결제, 송금, P2P 대출 등 뱅킹뿐 아니라 자본시장의 로보어드바이저, 인슈어테크로 대변되는 보험핀테크까지 금융 전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년여의 짧은 기간에 간편결제, 송금, 인터넷은행 등 나름대로 핀테크가 금융의 새로운 분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해외 핀테크 선진국에 비하면 여전히 뒤처져 있다는 평가다. 핀테크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프라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 특히 주안점을 둬야 할 포인트를 몇 가지 살펴보자.
첫째, 뱅킹부문에서의 인터넷 전문은행의 돌풍과 열기를 여타 금융권역으로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자본시장은 순간순간 가격변동이 이뤄지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손 안의 모바일금융, 핀테크와 궁합이 잘 맞는다. 우선 도입된 지 1년 반 되고 있는 크라우드펀딩은 나름 별 사고 없이 정착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서 투자한도 및 발행업종 제한 등 업계에서 요청하는 규제완화를 적극 검토할만하다. 크라우드펀딩은 불특정다수의 투자자들이 십시일반으로 참여해서 투자뿐 아니라 마케팅, 홍보효과까지 겸하고 있어 중소벤처를 활성화하겠다는 새 정부의 정책수단으로 제격이기 때문이다. 또 최근 테스트를 마친 로보어드바이저도 비대면 판매 허용 등 전향적인 제도 개선이 요청된다. 은퇴자금 운용 수요와 함께 저금리 때문에 인력을 적게 써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로보어드바이저 수요가 갈수록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로보어드바이저에서 경쟁력을 갖출 경우 큰 자본을 들이지 않고 해외진출 및 글로벌 브랜드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4차 산업혁명도 마찬가지지만, 핀테크가 2단계로 점프하려면 빅데이터 구축과 보안산업 육성이 필수라는 게 대다수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우선 4차 산업혁명시대의 빅데이터는 3차 산업혁명 때까지의 ‘원유와 같은 존재’에 비견된다고 한다. 따라서 핀테크에 있어서도 빅데이터는 인프라 중의 인프라다. 대출, 증권, 자산 운용, 보험 등 활용되지 않는 곳이 없기 때문이다. 보안 산업도 핵심 인프라다. 이것이 발달돼 있지 않으면 정보 유출 위험 때문에 혁신 핀테크 개발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규제 완화와 함께 블록체인 등을 포함한 보안산업 육성책이 본격화돼야 한다고 본다. 또 개인정보에 대해 보다 유연한 해석이 필요하다. 우리의 ‘정보’는 휴대전화번호도 개인정보에 포함될 만큼 넓어서 다른 국가 대비 보안 부담이 크다. 현재 선진국보다도 개인정보보호가 엄격해서 빅데이터 구축과 활용이 어렵다는 게 업계 의견이다. 개인적으론 가급적 빠른 사회적 합의를 통해 ‘개인정보 이용에 대한 사전 동의를 사후 동의로 전환’하는 등 전향적인 노력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된다.
셋째, 핀테크 생태계 조성 중 핵심인 투자, 즉 핀테크업체의 자금조달이 성장단계별로 원활하게 이뤄져야 한다. 현재 핀테크 스타트업들은 창업초기단계에선 엔젤투자 등 종잣돈 마련이 이뤄지는 편이지만, 그 이후는 자금조달이 이뤄지지 않아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을 헤매는 경우가 대단히 많다. 왜냐면 추가 자금조달의 전제조건인 매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출자한 펀드, 예컨대 성장사다리펀드의 적극적인 핀테크 투자를 통해 은행과 핀테크업체의 매출계약을 유도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며, 바람직한 방안 중 하나란 생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