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문에 이전보다 적극적이고 실효성 있는 방안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직접 거래가 없는 2·3차 협력사까지 지원대상에 포함하고 지원금액도 대폭 늘리는 등 과감하고 진일보한 협력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다.
재계를 대표하는 대한상공회의소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주문하면서 이런 분위기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은 20일 제주신라호텔에서 열린 '제42회 제주포럼'에서 "경제계는 책임 있는 경제주체로서 나라의 미래를 세우는 데 힘을 더하겠다"고 역설했다.
재계 1위의 삼성을 대표하는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은 최근 일자리 창출과 협력사와의 상생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다짐했다.
권 부회장은 지난 18일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이용섭 부위원장과 15대 기업 대표 간 정책간담회 직후 “최근 세계 경기가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 이럴 때 우리 기업들이 일자리를 가장 많이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은 적극적인 투자”라며 “기업들이 지속적인 투자로 일자리를 많이 창출하고 협력사와 상생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하반기 삼성전자의 채용 규모를 확대하겠다고 했다.
현대·기아차는 2·3차 협력사의 성장을 통해 자동차 부품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선순환 상생협력' 모델을 추진할 방침이다. 부품산업 내 지원 대상을 현행 300곳 이상의 1차 협력사는 물론 직접 거래가 없는 5000곳 이상의 2·3차 협력사로도 대폭 확대키로 한 것이다.
앞서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최근 중국에 진출한 130여개 국내 자동차 부품회사 대표들을 직접 만나 현지시장 부진 탈출전략을 논의했다. 정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자동차 부품산업 발전이 곧 한국 자동차 산업과 국가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라고 역설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달 열린 확대경영회의에서 '딥 체인지(Deep Change) 2.0'을 강조하며 1·2·3차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 강화 방안 등을 마련하기로 했다.
그는 “최근 우리 사회가 단기간에 이뤄낸 고도성장 속에서 의도치 않았던 양극화와 같은 사회∙경제적 이슈가 심각해지고 있다”며 “앞으로 SK는 대기업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면서 사회문제 해결에 더욱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SK그룹은 계열사의 경영성과평가지표(KPI)에 부의 양극화, 고령화 등 사회문제 해결에 얼마나 기여했는가를 넣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금은 주로 재무적 가치 위주로 평가하는데 사회적 가치 기여도도 반영하겠다는 의미다.
LG그룹은 구본무 회장을 중심으로 전 계열사가 전방위적인 상생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근 LG디스플레이가 기존 1차 협력사 500여 곳을 대상으로 운영하던 금융·기술·의료복지 분야의 상생 프로그램을 2000여 곳의 2·3차 협력사까지 대폭 확대하기로 한 게 대표적인 예다.
재계 관계자는 "상생을 기치로 내세운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영 방침에 맞춰 재계도 총수들이 직접 나서 협력과 동반성장을 강조하고 있다"며 “이 같은 기조가 대기업뿐만 아니라 국내 주요기업 전반으로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